728x90
728x90

분류 전체보기 427

깻잎인 줄 알았는데, 사실은 보약! “차조기”의 반전 매력

차조기(Perilla frutescens)는 꿀풀과의 한해살이풀로 중국이 원산이며, 들깨의 변종입니다. 한방에서는 잎을 소엽(蘇葉), 종자를 자소자(紫蘇子)라고 하여 발한·진해·건위·이뇨·진정 및 진통제로 사용하고, 생선이나 게를 먹고 식중독에 걸렸을 때 잎을 생즙 내어 마시거나 잎을 삶아서 먹습니다. 일본에서 캘리포니아롤, 스시, 권스시 등 밥으로 하는 요리에 주로 넣으며, 우메보시 등의 절임에 색을 물들이는 데에 쓰기도 합니다. 차조기에 들어있는 페릴라알데히드로 만든 감미료는 설탕보다 2천 배 정도 강하여 담배·장류·치약 등에 사용합니다. 잎이 자줏빛이 아니고 녹색인 것을 청소엽이라 하는데, 청소엽은 꽃이 흰색이고 향기는 차조기보다 강하여 약재로 많이 사용합니다. 줄기는 곧추서고 네모지며, 높이..

예측 불가능한 어려움, “천살(天煞)”이 당신에게 보내는 메시지는?

천살(天煞)은 십이신살(十二神殺) 중 하나로, 전통적으로는 하늘의 재앙, 예측 불가능한 어려움, 구속, 무력감, 질병, 자연재해 등과 관련된 부정적인 의미를 내포하는 흉살로 알려져 있습니다. '천재지변'이라는 이름이 의미하듯, 인간의 노력으로는 피하기 어려운 숙명적인 어려움과 연관되는 경우가 많다고 봅니다. 천살의 의미와 특징하늘의 재앙: 인간의 의지나 노력으로 극복하기 어려운, 마치 하늘이 내리는 듯한 재앙이나 불운을 의미합니다. 자연재해, 갑작스러운 사고, 예측 불가능한 사건 등이 여기에 해당될 수 있습니다.무력감과 구속: 일이 뜻대로 풀리지 않고, 외부적인 강한 힘에 의해 제약을 받거나 무력감을 느끼기 쉬운 상황을 나타냅니다.질병과 건강 문제: 특히 마비 질환, 중풍, 언어 장애, 심장 질환,..

사주명리/신살 2025.06.06

자화지정(紫花地丁)? “제비꽃” 알고 보면 슈퍼 약초!

제비꽃(Viola mandshurica)은 제비꽃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이 꽃의 유래는 꽃이 필 무렵에 제비가 돌아온다고 하여 붙여졌다는 설과 꽃의 모양과 빛깔이 제비를 닮았다고 하여 붙여졌다는 설이 있습니다. 다른 이름으로 장수꽃, 씨름꽃, 반지꽃, 오랑캐꽃, 앉은뱅이꽃, 병아리꽃, 외나물 등이 있는데, 오랑캐꽃의 유래는 꽃이 필 무렵 오랑캐가 자주 쳐들어왔다는 설과 꽃의 생김이 오랑캐의 머리채를 닮았다는 설이 있습니다. 또한, 그리스 신화에는 양치기 소년 '아티스'가 아름다운 소녀 '이아'의 진실한 사랑을 모른 척하자 '이아'가 죽어 제비꽃이 되었다는 전설도 있습니다. 고대 로마에서는 장미와 더불어 흔히 정원을 장식하였는데, 폭군 엘라가발루스가 좋아하던 꽃도 바로 제비꽃이였습니다. 유럽..

명리학 십이신살: “재살(災煞)” 총정리 (성립 요건, 의미, 대처법)

재살(災煞)은 십이신살(十二神殺) 중 하나로, 전통적으로는 재앙, 손실, 구속, 송사 등 부정적인 의미를 많이 내포하는 흉살로 알려져 있습니다. '수옥살(囚獄殺)'이라고도 불리며, 감금이나 법적 문제와 연관되는 경우가 많다고 보기도 합니다. 재살의 의미와 특징재앙과 손실: 이름 그대로 재앙과 손실을 의미하며, 갑작스러운 사고, 금전적 어려움, 명예 손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고 봅니다.구속과 송사: '수옥살'이라고도 불리는 것처럼, 법적 문제, 송사, 구설수, 심지어 감금이나 포로가 되는 상황과 연관될 수 있다고 해석하기도 합니다.외부적 제약: 개인의 의지나 계획이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실현되기 어려운 상황을 나타내기도 합니다.지혜와 총명함: 재살을 가진 사람은 위기 상황에서 눈치가 빠르고 두뇌 회..

사주명리/신살 2025.06.05

“풀솜대”, 왜 '녹약'이라 불릴까? 효능부터 섭취 시 주의사항까지

풀솜대(Maianthemum japonicum)는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라며, 중국, 일본, 러시아 등 동아시아에 분포합니다. 어린순은 식용하며, 지장보살, 솜대, 솜죽대, 왕솜대, 큰솜죽대, 품솜대라고도 합니다. 줄기는 높이 20~60cm 정도로 자라며 위쪽에서 비스듬하게 기울어지고, 위로 올라갈수록 털이 많습니다. 원줄기 밑부분에 3개 정도의 투명한 막질부가 있어 원줄기를 완전히 둘러쌉니다. 근경은 지름 4~7mm 정도로 원주형으로 옆으로 뻗고 불룩한 여러개의 마디가 있습니다. 잎은 5~7장이 2줄로 어긋나고, 짧은 잎자루가 있으며, 난상 또는 긴 타원형으로 길이 6~15cm, 폭 3~7cm 정도로 끝이 뾰족하고 양면에 털이 있습니다. 꽃은 흰색으로 4~6월에 피..

아름답지만 치명적인 독초: “미국자리공”의 진실과 위험성

미국자리공(American pokeweed)은 자리공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미국이 원산지이며, 우리나라에는 1950년도 구호물품과 함께 들어온 것으로 추정됩니다. 독소를 내뿜고, 독성 열매가 땅에 떨어지면서 주변 토양을 산성화하며, 5~6년 생육하다가 자체 독성으로 소멸한다는 도시전설이 유포되기도 하였습니다. 색깔이 진한 열매는 즙이 많아서 익은 열매가 떨어지면 바닥이 지저분해지고 옷에 즙이 묻으면 잘 지워지지 않습니다. 제초제에도 안 죽고 버티는 지독한 잡초로 울산과 여천 공단 주변 숲에서 급속히 번져 우리나라 자연생태계를 교란하는 ‘독초의 대명사’가 되었으며, 1990년대 황소개구리와 더불어 전국을 들썩이게 만든 식물로 ‘생태계교란종’입니다. 자리공 종류는 모두 살충제로 쓰고, 예전에는..

내 사주 속 "장성살(將星殺)" 타고난 리더의 기운, 당신은 어떤 잠재력을 가졌을까?

장성살(將星殺)은 십이신살(十二神殺) 중 하나로, '장군 별'을 의미하며 강력한 리더십, 권위, 주체성, 독립심 등을 상징합니다. 사주에 장성살이 있는 사람은 우두머리가 되려는 기질이 강하고, 자신의 분야에서 최고가 되기 위해 노력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장성살의 성립 조건: 명리학에서 장성살(將星殺)은 사주 원국(四柱元局)의 지지(地支)를 기준으로 특정 조건에 의해 성립됩니다. 이는 십이신살(十二神殺)의 성립 방식과 관련이 있으며, 특히 삼합(三合) 운동과 밀접하게 연결됩니다.장성살의 성립 조건은 사주팔자의 년지(年支), 즉 태어난 해의 띠를 기준으로 다른 지지(월지, 일지, 시지)와의 관계를 통해 결정됩니다. 구체적인 성립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태어난 해의 지지(띠)가 속한 삼합(三合) 그룹의 ..

사주명리/신살 2025.06.04

버릴 것 없는 기적의 나무: “꾸지뽕나무”, 당신의 건강을 지켜줄 숨겨진 보물!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는 뽕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으로 동아시아에 자생하며, 한국에서는 중부 이남에 주로 분포합니다. 이름의 유래는 뽕나무가 아니지만 비슷한 특성이 많아서 구태여 뽕나무라는 뜻의 ‘굳이+뽕나무’라는 설과 목재가 단단하기 때문에 ‘굳은 뽕나무’가 변형되어 꾸지뽕이 되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다른 이름은 구지뽕나무, 굿가시나무, 활뽕나무라고도 합니다. 높이는 3~8m 정도로 자라고, 원래 가지에 가시가 있으나, 가시가 없는 개량종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잎은 난형 또는 3갈래로 갈라지며 길이 6~10cm, 폭 3~6cm 정도이고 위쪽이 점차 좁아지다가 끝은 둔해집니다. 잎 표면에 잔털이 있고, 뒷면에 융털이 있습니다. 꽃은 5~6월에 암수딴그루로 피..

“오이풀” 오이 향 나는 풀? 효능부터 먹는 법까지 완벽 가이드

오이풀(Sanguisorba officinalis)은 장미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한국, 일본, 유럽, 중국 만주,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하며, 고도가 낮은 산지 숲 가장자리, 들의 풀밭에서 흔히 자랍니다. 오이풀의 잎을 비비면 오이 또는 수박 냄새가 난다고 하여 '오이풀'이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어린잎은 식용하고, 뿌리는 지유(地楡)라 하여 약재로 사용합니다. 생기소르비에닌(sanguisorbienin)과 타닌 등을 함유하고 있어, 지혈제로 쓰며, 토혈·월경 과다·이질·산후 복통 등에 효과가 있습니다. 줄기는 높이 30~150cm 정도로 곧추서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털은 없습니다. 뿌리줄기는 굵으며 방추형이고,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며 5~11개의 작은 잎이 달리는데 깃 모양의 겹잎입니..

흔하지만 몰랐던 풀: "개모시풀" 약초일까 잡초일까?

개모시풀(Sycamore-leaf falsenettle)은 쐐기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일본과 중국 등에 분포하며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산기슭, 골짜기 등 습한 곳에 자랍니다. 배수가 잘되는 양토 또는 사질 양토를 좋아하며, 주로 종자로 번식하지만, 뿌리줄기에서 나오는 어린줄기를 삽목하여 번식하기도 합니다. 식물의 이름에 ‘개’를 붙일 때 기준이 되는 식물에 비해 품질이 낮거나 모양이 다를 때 주로 사용하는데, 개모시풀은 모시풀을 담아 개모시풀이라고 부르며, 어린순은 나물로 먹고, 식용합니다. 그러나, 섬유식물이지만 줄기 섬유가 약하여 옷감에는 잘 쓰지는 않습니다. 줄기는 높이 1m 정도이며, 둔한 능선이 있고 짧은 털이 밀생합니다. 잎은 마주나고 넓은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10cm, 폭 1..

절대 먹으면 안 돼요! “천남성(天南星)”, 치명적인 독성에 대한 경고

천남성(天南星, Arisaema amurense)은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열대·아열대에 분포하지만 열대에는 비교적 적은 편이며, 세계적으로 129속의 2,000여 종이 알려져 있습니다. 한국에는 천남성, 창포, 반하, 두루미천남성, 자주천남성, 앉은부채 등의 11여 종이 분포하고 있습니다. 하늘에서 양기가 강한 남쪽별 천남성의 이름을 땄으며, 꽃을 싸고 있는 포가 뱀이 머리를 치켜든 것처럼 보여 '사두초(蛇頭草)라 부르기도 합니다. 조선 숙종 때 장희빈에게 내린 사약을 천남성의 뿌리로 만들었듯이 독성이 강한 독초이지만 약초로도 사용합니다. 4월에 흑갈색의 뾰족한 새순이 올라오고 대가 올라오면 꽃과 잎이 같이 피어나기 시작하며, 꽃을 싸고 있는 포엽으로 곤충을 유인하는데 암꽃과 수꽃이 육수꽃..

연못 위의 보석, “가시연” 멸종위기종의 신비로운 자태

가시연(Euryale ferox)은 수련과에 속하는 수생식물로 분류학적으로 1속 1종의 완전히 독립된 개체이며,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식물입니다. 식물 전체에 가시가 있어 가시연이라고 하며, 수심이 깊지도 얕지도 않은 곳에서 자랍니다. 과거 강릉의 풍호에서 많은 가시연 종자가 채취되었고, 강릉 향교에서는 대제례에 사용되기도 했을 정도로 풍부했으나, 개체수가 많이 줄면서 강릉시에서는 가시연의 서식 환경 보호를 위해 천이 억제 작업을 실행하고 있습니다. 창녕 우포늪 또한 가시연의 서식지로 유명하며, 경산시 진못에서는 준설작업으로 연꽃을 다 파버렸더니 가시연이 부활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최근 들어 제주도를 제외한 서울, 경기도, 강원도 등 전국에 걸쳐 자생지가 발견되고 있습니다. ..

하늘의 기운을 타고난 자? 신살 "천문성(天門星)"

천문성(天門星)은 '하늘 천(天)', '문 문(門)' 자를 써서 말 그대로 하늘의 문을 의미하는 신살(神殺) 중 하나입니다. 이는 현세적인 복덕보다는 정신적, 영적인 부분이나 학문, 철학, 종교, 명상, 그리고 깊은 사유와 관련된 기운을 나타냅니다. 천문성(天門星)에 해당하는 지지(地支)천문성은 주로 다음 두 글자에 해당합니다.戌(술): 개띠를 상징하는 지지亥(해): 돼지띠를 상징하는 지지이 두 글자가 사주 원국(사주팔자)의 천간이나 지지에 있을 때 천문성을 가지고 있다고 봅니다. 특히 일지(日支)나 월지(月支)에 있을 때 그 영향력이 강하게 나타난다고 해석됩니다. 천문성(天門星)의 주요 특징 및 작용천문성은 다음과 같은 긍정적이고 때로는 다소 신비로운 특징을 가집니다.깊은 사유와 통찰력: 현실적..

사주명리/신살 2025.06.03

사계절 푸른 생명력: "사철쑥" 당신의 건강을 지켜줄 숨은 보물

사철쑥(Artemisia capillaris)은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한국, 러시아, 몽골,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 등에 분포하며, 들이나 강기슭, 바닷가, 냇가 모래땅에서 잘 자라며, 잎이 코스모스처럼 갈라지며 씨가 많이 달려 있기에 번식력이 강합니다. 사철쑥은 일반 쑥과 달리 더위지기, 털산쑥, 힌산쑥, 비쑥, 제비쑥 등과 같이 인진에 속하는 쑥입니다. 인진쑥 종류는 식용할 수는 있지만, 일반 쑥보다 쓴맛이 강하여 주로 생약제나 건강보조식품으로 사용되며, 그 외에도 쑥한방비누, 쑥음료, 목욕재 등으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생육환경에 따라 형태변이가 매우 심합니다. 줄기는 높이 40~110cm 정도이고 밑부분이 나무질입니다. 뿌리잎은 꽃이 피기 전에 마르며, 넓은 난형으로 2..

"급각살(急脚殺)" 사주에 이 살이 있다면 다리 조심? 진짜 의미 파헤치기

급각살(急脚殺)은 한자 그대로 '급할 급(急)'에 '다리 각(脚)'을 사용하여, 다리나 팔 등 사지(四肢)와 관련된 부상, 질병, 장애를 암시하는 흉살(凶殺) 중 하나입니다. 주로 육체적인 건강 문제, 특히 뼈나 관절, 신경통 등과 연관 지어 해석됩니다. 급각살의 성립 조건급각살은 주로 월지(月支)를 기준으로 하여 일지(日支)나 시지(時支)에 특정 지지(地支)가 있을 때 성립됩니다. 사주의 다른 기둥에서도 급각살에 해당하는 글자가 있으면 그 영향력이 있다고 봅니다. 고전적인 성립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봄에 태어난 사람 (寅卯辰월): 사주에 亥(해), 子(자)가 있을 때여름에 태어난 사람 (巳午未월): 사주에 卯(묘), 未(미)가 있을 때가을에 태어난 사람 (申酉戌월): 사주에 寅(인), 戌(술)이..

사주명리/신살 2025.06.02

잡초라고 무시 마세요! "개똥쑥" 당신의 건강을 뒤집을 반전 효능

개똥쑥(Artemisia annua)은 국화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유럽과 아시아에 분포하며, 우리나라는 경기, 충남, 제주 등에 자랍니다. 한방에서는 청호(菁蒿), 황화호(黃花蒿)라고 하며, 전통적으로 약용으로 많이 쓰였고, 항암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꾸준히 나오고 있습니다. 손으로 뜯어서 비벼 보면 개똥 냄새가 난다고 해서 ‘개똥쑥’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식물체 전체에 털이 없고, 강한 냄새가 납니다. 줄기는 높이 1m 정도로 자라고, 가지가 많이 갈라집니다. 잎은 어긋나고, 3회 깃꼴겹잎이며 길이 4~7cm 정도로 맨 끝 갈래는 피침형으로 크기가 비슷하며 폭은 0.3mm 정도이고, 표면에 가루 같은 잔털과 샘점이 있습니다. 꽃은 8~9월에 피는데 두상꽃차례에 달리며, 머리모양꽃은 ..

사주에 "현침살"이 있다면? 침술, 칼, 예리함... 당신의 직업과 운명은?

현침살(懸針殺)은 한자 그대로 '매달 현(懸)', '바늘 침(針)'으로, 바늘이나 칼처럼 날카롭고 예리한 기운을 의미하는 신살(神殺) 중 하나입니다. 길흉이 뚜렷하게 갈리는 특징이 있으며, 현대에는 그 부정적인 면보다는 긍정적인 직업적 특성으로 많이 해석됩니다. 현침살에 해당하는 글자甲(갑): 뾰족한 나무, 창끝申(신): 날카로운 칼날 (금속)卯(묘): 뾰족한 풀, 가시午(오): 뾰족한 불꽃, 혀끝 (말)辛(신): 작은 칼, 바늘, 예민함이 글자들이 사주 원국(사주팔자)의 천간이나 지지에 있을 때 현침살이 있다고 봅니다. 특히 일주(日柱, 태어난 날)에 현침살 글자가 있을 때 그 영향력이 가장 강하다고 보며, 현침살 글자의 개수가 많을수록 그 기운이 더욱 강하게 나타납니다. 현침살의 주요 특징 ..

사주명리/신살 2025.06.01

사계절 푸른 생명력! “맥문동(麥門冬)” 당신의 기관지를 지키는 숨은 보배

맥문동(麥門冬, Liriope platyphylla)은 비짜루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한국, 타이완, 일본 등에 분포하며 산지의 나무 그늘에서 자랍니다. 다른 이름은 불사초라고도 하며, 한방에서는 강장, 거담, 진해, 강심제 등에 사용합니다. 최근 새집증후군이 자주 언급이 되면서 맥문동의 공기정화 능력이 알려졌는데, 재배하는데 특별한 어려움은 없습니다. 화분에 심을 때는 산모래와 부엽토를 7:3의 비율로 섞어 배양토로 쓰며, 배수가 잘되고, 물을 과하게 주지 않으면 그늘지고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랍니다. 맥문동은 내한성과 내음성이 매우 강하여 한겨울에도 성장만 멈출 뿐 지상부가 마르지 않고 푸른 상태를 유지하며, 재배시에 차광을 하지 않으면 잎이 탈 정도로 그늘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조경용으로도 ..

아픔을 보듬는 별, “천의성(天醫星)” 이 신살을 가진 당신의 운명은?

천의성(天醫星)은 말 그대로 '하늘의 의원(醫員)'을 의미하는 길신(吉神) 중 하나입니다. 사람의 몸과 마음을 치유하고 보살피는 능력과 관련이 깊다고 해석됩니다. 천의성의 성립 조건천의성(天醫星)은 월지(月支)를 기준으로 삼아 판단하는 길신(吉神)입니다. 즉, 사주팔자의 네 기둥 중 태어난 달을 나타내는 월지(月支)를 주된 기준으로 삼아, 특정 지지(地支)가 사주 원국 내에 있는지 확인하여 천의성의 성립 여부를 파악합니다. 천의성 성립 조건 상세 설명천의성은 월지(月支)의 바로 앞 지지(地支)가 사주 원국(년지, 일지, 시지 중 하나)에 있을 때 성립됩니다. 십이지지의 순환 원리에 기반하여 월지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12지지 순서에서 월지보다 한 칸 뒤에 있는 지지가 천의성이 됩니다. 마치 태어난..

사주명리/신살 2025.05.31

내 사주 속 그림자: 명리학 흉살(凶殺)의 종류와 의미

명리학에서 흉살(凶殺)은 사주팔자에 나타나는 특정 글자들의 조합으로, 사람의 운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 미친다고 보는 요소들을 말해요. 흉살은 불운, 재앙, 질병, 사고, 인간관계의 어려움 등을 암시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흉살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 나쁘게만 볼 것은 아니에요. 흉살의 기운을 직업적으로 활용하거나 다른 길신이 흉살을 제어(制化)하는 경우 오히려 긍정적인 작용을 하기도 합니다. 1. 십성(十星) 기반 흉신십성은 일간(日干)과의 관계에 따라 분류되는 10가지 육친(六親) 중 흉한 작용을 하는 것들을 흉신으로 봅니다. 이들은 사주 원국의 구성과 다른 글자들과의 관계에 따라 그 길흉의 작용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겁재(劫財):의미: 재물 손실, 경쟁, 구설수, 배신, 형제나 동료와의 불..

728x90
728x90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