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삶/산야초

연못 위의 보석, “가시연” 멸종위기종의 신비로운 자태

Supuro 2025. 6. 3. 11:36
728x90
728x90

가시연(Euryale ferox)은 수련과에 속하는 수생식물로 분류학적으로 1속 1종의 완전히 독립된 개체이며,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식물입니다. 식물 전체에 가시가 있어 가시연이라고 하며, 수심이 깊지도 얕지도 않은 곳에서 자랍니다.

 

 

가시연 - 나무위키

 

 

과거 강릉의 풍호에서 많은 가시연 종자가 채취되었고, 강릉 향교에서는 대제례에 사용되기도 했을 정도로 풍부했으나, 개체수가 많이 줄면서 강릉시에서는 가시연의 서식 환경 보호를 위해 천이 억제 작업을 실행하고 있습니다. 창녕 우포늪 또한 가시연의 서식지로 유명하며, 경산시 진못에서는 준설작업으로 연꽃을 다 파버렸더니 가시연이 부활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최근 들어 제주도를 제외한 서울, 경기도, 강원도 등 전국에 걸쳐 자생지가 발견되고 있습니다.

 

 

가시연 - 나무위키

 

가시연 - 나무위키

 

 

줄기와 잎, 꽃 등 식물체 전체에 가시가 있으며, 처음에 주름으로 접혀있던 잎은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펴져 원 모양이 됩니다. 잎은 광택이 있고 크기가 다양한데 1m까지 넓게 펼쳐집니다. 7~8월에 가시가 돋은 긴 꽃대가 자라서 그 끝에 지름 4cm 정도의 밝은 자주색 꽃이 피는데, 낮에는 벌어졌다가 밤에는 닫힙니다.

 

꽃은 약 3일간 개폐를 반복한 후 물속으로 들어가 종자를 형성하는 폐쇄화(閉鎖花)입니다. 성숙한 과실이 터지면 가종피(假種皮)를 갖는 종자가 물에 뜨는데, 일정 기간 떠다니다가 종피(種皮)가 썩거나 터져 물이 들어가면, 종자는 물밑으로 가라앉았다가 다음해 4~7월에 발아합니다.

 

 

주요 효능

가시연의 씨앗인 검인(芡仁)에는 다음과 같은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 탄수화물(전분): 주요 성분으로, 에너지를 공급합니다.
  • 단백질: 신체 구성 및 기능 유지에 필수적인 영양소입니다.
  • 지방: 소량 함유되어 있습니다.
  • 비타민: 비타민 B2, 비타민 C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무기질: 칼륨, 인, 철, 칼슘 등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 카탈라아제(Catalase): 효소의 일종입니다.

이러한 성분 구성은 가시연이 전통적으로 영양 보충 및 기력 증진에 사용되어 온 이유를 설명해 줍니다.



비장과 신장을 보하고 튼튼하게 함(補脾固腎):

  • <본초강목>: "지갈익신(止渴益腎)한다. 소변이 나오는 것을 참거나 가누지 못하여 흘리게 되는 증세, 유정, 백탁, 대하증을 치료한다."
  • <본초종신>: "보비고신(補脾固腎), 조기삽정(助氣澀精)한다."
  • <중경초약>: "보비익신(補脾益腎)한다. 백대하를 치료한다."
  • 이는 비위(脾胃) 기능 허약으로 인한 만성 설사와 신장 기능 약화로 인한 유정(정액이 저절로 흐르는 증상), 몽정, 임탁(소변이 탁한 증상), 백탁(소변이 뿌옇게 나오는 증상), 대하(여성 냉대하), 소변불금(요실금) 등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합니다.

 

수렴 및 삽정(澀精) 작용:

  • 정기를 수렴하여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는 효능이 뛰어나, 특히 남성의 유정, 몽정, 조루증 및 여성의 대하 등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설사 완화 (止泄):

  • 비위 기능이 약해 만성적으로 설사를 하는 경우에 비장을 튼튼하게 하여 설사를 멎게 하는 효능이 있습니다. 만성 이질에도 유효하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기력 증진 및 식욕 증진:

  • <일화자제가본초>: "식욕을 돋우고 기를 돕는 효능이 있다."
  • 정기를 보하고 기혈을 왕성하게 하여 전반적인 체력을 증진시키고, 소화 기능을 돕는 데 기여합니다.

 

기타 효능:

  • 지혈 및 토혈: 여성의 산후 출혈이나 토혈 치료에 사용되기도 합니다.
  • 종독 치료: 여러 가지 종기나 부스럼 치료에 응용될 수 있습니다. (주로 뿌리 부분)
  • 번갈(煩渴) 해소 및 허열(虛熱) 제거: 꽃줄기는 갈증을 해소하고 허열을 내리는 효능이 있다고 합니다.
  • 노화 지연 및 눈, 귀를 밝게 함: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허기지지 않으며, 노화를 방지하고 귀와 눈을 밝게 한다는 기록도 있습니다.
  • 신경쇠약: 신경쇠약 증세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언급도 있습니다.

 

가시연은 풍부한 탄수화물,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전통 의학적으로는 주로 씨앗인 검인이 비장과 신장을 보하고 수렴하는 효능이 뛰어나 만성 설사, 유정, 대하, 요실금 등 다양한 증상에 활용되어 왔습니다.

 

 

먹는 방법

가시연은 주로 씨앗인 검인(芡仁)을 약용 또는 식용으로 활용합니다. 멸종위기종이기 때문에 개인이 직접 채취하여 섭취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한약재로 유통되는 검인을 구매하여 섭취해야 합니다.

 

1. 죽으로 끓여 먹기 (검인죽)

  • 가시연을 가장 흔하게 섭취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 말린 검인을 물에 충분히 불린 후 믹서에 갈거나 잘게 부수어 가루를 냅니다. 멥쌀을 불려 일반적인 죽 끓이듯이 냄비에 넣고 끓이다가, 갈아둔 검인을 넣고 눌어붙지 않도록 잘 저어가며 죽을 끓입니다. 기호에 따라 소금으로 간을 합니다.
  • 비위 기능을 튼튼히 하고 기력을 보충하며, 정기를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아침 공복에 먹으면 더욱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2. 가루 또는 환(丸)으로 섭취

  • 가루: 말린 검인을 곱게 가루 내어 물이나 따뜻한 차에 타서 마시거나, 선식처럼 다른 곡물 가루와 섞어 먹을 수 있습니다.
  • 환: 가루 낸 검인을 꿀이나 다른 재료와 섞어 환을 만들어 복용할 수도 있습니다.
  • 복용량: 일반적으로 말린 가시연밥(검인)은 한 번에 8g에서 15g을 달여 복용하거나 가루약, 알약 형태로 섭취합니다.

 

3. 달여서 복용 (탕약)

  • 다른 약재와 함께 달여서 탕약 형태로 복용할 수 있습니다. 한의사의 처방에 따라 다른 약재와 배합하여 특정 효능을 강화하기도 합니다.

 

4. 인도식 스낵 (팝콘/강냉이처럼)

  • 한국에서는 드물지만, 인도에서는 가시연 씨앗을 튀기거나 열을 가해서 팝콘이나 강냉이처럼 먹는다고 합니다. 이는 웰빙 식품으로도 수출되고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5. 기타 요리 활용

  • 닭고기나 다른 고기 육수에 검인을 넣고 함께 끓여 보양식으로 섭취하기도 합니다.
  • 연밥과 같이 쪄서 먹거나, 연근, 대추 등과 함께 연잎밥에 넣어 활용하기도 합니다.

 

 

섭취 시 주의사항

가시연(검인)은 약효가 순하고 부작용이 적은 편이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섭취에 주의해야 합니다.

  • 변비나 혈뇨가 있는 경우: 수렴 작용이 강하므로 변비를 악화시키거나 혈뇨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소화불량이 있는 경우: 전분 함량이 높아 소화가 잘 안될 수 있으므로, 소화불량이 심한 사람은 소량만 섭취하거나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외감(外感) 초기: 감기 등 외부로부터 사기(邪氣)를 받은 초기에는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복부 팽만감: 기가 막히고 복부에 팽만감이 있는 사람도 주의해야 합니다.
  • 산후: 산모의 경우 전문가와 상담 후 섭취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과다 섭취: 아무리 좋은 식품도 과다 섭취는 좋지 않습니다. 적정량을 지켜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전문가 상담: 특정 질환이 있거나 체질이 민감한 경우, 임신 중이거나 수유 중인 경우에는 섭취 전 반드시 한의사 또는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시연은 멸종위기종이므로 자연 상태에서 채취하는 것은 법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약용으로 섭취할 때는 반드시 허가된 한약재 판매처에서 구매한 검인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28x90
728x90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