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사주명리/명리학 91

내 사주 속 그림자: 명리학 흉살(凶殺)의 종류와 의미

명리학에서 흉살(凶殺)은 사주팔자에 나타나는 특정 글자들의 조합으로, 사람의 운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 미친다고 보는 요소들을 말해요. 흉살은 불운, 재앙, 질병, 사고, 인간관계의 어려움 등을 암시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흉살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 나쁘게만 볼 것은 아니에요. 흉살의 기운을 직업적으로 활용하거나 다른 길신이 흉살을 제어(制化)하는 경우 오히려 긍정적인 작용을 하기도 합니다. 1. 십성(十星) 기반 흉신십성은 일간(日干)과의 관계에 따라 분류되는 10가지 육친(六親) 중 흉한 작용을 하는 것들을 흉신으로 봅니다. 이들은 사주 원국의 구성과 다른 글자들과의 관계에 따라 그 길흉의 작용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겁재(劫財):의미: 재물 손실, 경쟁, 구설수, 배신, 형제나 동료와의 불..

내 사주 속 행운의 열쇠: 명리학 길신(吉神) 총정리

명리학에서 '길신(吉神)'은 사주팔자에 나타나는 특정한 글자들의 조합으로, 사람의 운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는 요소들을 말합니다. 길신은 좋은 운, 복록, 귀인, 재물, 명예, 건강 등의 의미를 가집니다. 길신은 크게 십성(十星) 기반 길신과 신살(神殺) 기반 길신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십성(十星) 기반 길신십성은 일간(日干)과의 관계에 따라 분류되는 10가지 육친(六親)으로, 이 중 길한 작용을 하는 것들을 길신으로 봅니다. 이들은 사주 원국의 구성에 따라 그 길흉의 작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식신(食神):의미: 의식주, 재물, 자식, 건강, 복록, 먹을 복, 여유, 온화함, 낙천적 성향, 예술적 재능.특징: 안정적이고 편안한 삶을 의미하며, 흉신인 편관(偏官)을 제어하여 흉액..

형살의 "자형(自刑)" 스스로 갇히는 운명인가? 지혜롭게 극복하는 길

자형(自刑)은 지지(地支)의 같은 글자가 사주 원국에 두 개 이상 나란히 있거나, 운(대운, 세운)에서 와서 같은 글자가 겹쳐질 때 형성되는 형(刑)의 한 형태입니다. '스스로 자(自)'에 '형벌 형(刑)'을 사용하여 말 그대로 '스스로에게 형벌을 가한다'는 의미를 내포합니다. 자형에 해당하는 경우는 다음 네 가지입니다.진진자형(辰辰刑): 지지의 진(辰)이 두 개 만날 때.오오자형(午午刑): 지지의 오(午)가 두 개 만날 때.유유자형(酉酉刑): 지지의 유(酉)가 두 개 만날 때.해해자형(亥亥刑): 지지의 해(亥)가 두 개 만날 때. 자형의 주요 작용 및 해석내면의 갈등과 고뇌: 스스로 만족하지 못하거나, 자책하거나, 끊임없이 고민하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내면의 불안정함이나 심리적인 어려움을 ..

“상형(相刑)”의 의미와 특징

상형(相刑)은 지지(地支)의 두 글자가 서로에게 형(刑)의 작용을 미치는 관계를 의미합니다. 삼형(三刑)이 세 글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과 달리, 상형은 두 글자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합니다. 명리학에서 대표적인 상형은 다음과 같습니다.자묘형(子卯刑): 지지의 자(子)와 묘(卯) 두 글자가 만날 때 성립합니다. 자묘형은 특히 '무례지형(無禮之刑)'이라고도 불립니다. 이는 글자 자체의 성질이나 오행의 관계에서 비롯된 것으로, 자수(子水)는 응축하고 가라앉는 기운이 강하고, 묘목(卯木)은 솟아나고 퍼져나가는 기운이 강하여 서로의 성질이 상충하고 조화롭지 못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 해석됩니다. 또한, 자수와 묘목은 각각 왕지(旺地)로서 자신의 기운이 가장 강한 시기인데, 이러한 강한 기운들이 만..

“삼형(三刑)”의 의미와 특징

명리학에서 형(刑)은 십이지지(地支)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 중 하나로, 주로 갈등, 마찰, 손상, 다툼, 구설, 소송, 수술, 사고 등을 의미하는 흉살(凶殺)입니다. 단순히 '나쁘다'라고 할 수 없고, 그 영향력은 사주원국 전체의 구성과 운의 흐름에 따라 달라집니다. 때로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현되기도 합니다. 1. 인신사형(寅申巳刑)인신사형(寅申巳刑)은 지지(地支)의 글자인 인(寅), 신(申), 사(巳) 세 글자가 사주 원국에 함께 있거나 운에서 와서 이 세 글자의 조합이 완성될 때를 의미하는 삼형(三刑) 중 하나입니다. 역마(驛馬)의 조합: 인(寅), 신(申), 사(巳)는 모두 역마살에 해당하는 지지로, 활동적이고 역동적인 기운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글자들이 모여 형을 이루면 그 역동적인 ..

갈등, 충돌, 손상의 원인? 명리학에서는 “형(刑)”이라 하는데...

명리학(四柱推命)에서 '형(刑)'은 지지(地支) 글자 간의 특정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 중 하나로, 일반적으로는 갈등, 충돌, 손상, 어려움, 관재(법적인 문제), 구설, 사고, 질병 등을 의미하는 흉작용으로 해석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형벌'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어 답답함, 묶임, 강제적인 상황 등을 겪을 수 있음을 암시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형'이 반드시 부정적으로만 작용하는 것은 아니며, 사주 원국의 전체적인 구성이나 다른 글자와의 관계, 그리고 운의 흐름에 따라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권력, 명예, 전문성, 문제 해결 능력 등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특히 생살여탈(殺生與奪)의 권한을 가지는 직업군, 즉 군인, 경찰, 검찰, 의사, 법조계 등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는 긍정적인 에너지로 발현되는 경우도..

재물·건강·인간관계 삼재팔난? 띠별 ‘삼재(三災)’와 운 흐름 대처 가이드

삼재(三災), 이 두 글자만 들어도 괜히 마음이 쎄~해지는 분들 많으시죠? 흔히 삼재팔난(三災八難)이라 하여 재물, 건강, 인간관계 등 인생의 여러 방면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과연 삼재는 피할 수 없는 불운일까요, 아니면 현명하게 극복할 수 있는 시기일까요? 오늘은 띠별 삼재 주기를 알아보고, 3년간의 삼재 운의 흐름에 따라 우리가 어떻게 대처하고 마음을 다잡아야 할지 함께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막연한 두려움 대신 지혜로운 준비로 삼재를 성장의 기회로 만들어 보세요! 삼재, 대체 무엇이길래?삼재는 9년마다 한 번씩 돌아오는 3년 동안의 흉운(凶運) 기간을 의미합니다. 보통 들삼재(入三災), 눌삼재(枕三災), 날삼재(出三災)로 구분하며, 각 해마다 그 특징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지지육합(地支六合)에서 오미합화(午未合火)

명리학에서 오미합화(午未合火)는 지지육합(地支六合) 중 하나로, 십이지지의 오화(午火)와 미토(未土)가 만나 화(火) 기운이나 토(土) 기운으로 합화(合化)하려는 작용을 의미합니다. 오미합은 합화되는 오행이 화 또는 토로 나뉘어 해석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오화(午火)는 오행으로 강한 화(火)에 해당하고, 미토(未土)는 오행으로 토(土)에 해당하며 조토(燥土), 즉 마른 흙의 성질을 가집니다. 마른 흙은 불의 기운을 잘 흡수하고 돕는 역할을 하므로 오화와 미토가 만나면 화 기운이 강해져 화로 합화되려는 경향이 강합니다. 하지만 미토 자체는 토이므로 상황에 따라 토로 합화되거나 화와 토의 성질을 동시에 가지는 것으로 해석하기도 합니다. 오미합화/토의 특징과 해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합화된 오행: 오화와..

지지육합(地支六合)에서 사신합수(巳申合水)

명리학에서 사신합수(巳申合水)는 지지육합(地支六合) 중 하나로, 십이지지의 사화(巳火)와 신금(申金)이 만나 수(水) 기운으로 합화(合化)하려는 작용을 의미합니다. 사화(巳火)는 오행으로 화(火)에 해당하고, 신금(申金)은 오행으로 금(金)에 해당합니다. 오행의 이치로 보면 화극금(火剋金)으로 상극 관계에 있지만, 이 둘이 만나 수(水)로 합화하는 것은 지지 합의 복잡성을 보여줍니다. 이는 사화 안의 지장간(地藏干)인 무토(戊土), 경금(庚金), 병화(丙火)와 신금 안의 지장간인 무토(戊土), 임수(壬水), 경금(庚金) 간의 상호작용, 특히 사화 안의 병화와 신금 안의 임수가 충(冲)하는 관계 등이 얽혀 수 기운을 만들어낸다고 설명하기도 합니다. 사신합수의 특징과 해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합화된 오..

지지육합(地支六合)에서 진유합금(辰酉合金)

명리학에서 진유합금(辰酉合金)은 지지육합(地支六合) 중 하나로, 십이지지의 진토(辰土)와 유금(酉金)이 만나 금(金) 기운으로 합화(合化)하려는 작용을 의미합니다. 진토(辰土)는 오행으로 토(土)에 해당하고, 유금(酉金)은 오행으로 금(金)에 해당합니다. 진토는 금(金)의 고지(庫地), 즉 금 기운이 갈무리되고 저장되는 곳입니다. 따라서 유금과 만나면 진토 안에 내재된 금 기운이 유금과 합세하여 금 기운을 더욱 강하게 만들면서 합화가 이루어진다고 설명합니다. 진유합금의 특징과 해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합화된 오행: 진토와 유금이 합하여 금(金) 기운으로 변하려는 성질을 가집니다. 진토가 금의 고지 역할을 하므로 합화력이 비교적 잘 나타나는 편입니다. 하지만 다른 육합과 마찬가지로 사주 원국 전체의 ..

지지육합(地支六合)에서 묘술합화(卯戌合火)

명리학에서 묘술합화(卯戌合火)는 지지육합(地支六合) 중 하나로, 십이지지의 묘목(卯木)과 술토(戌土)가 만나 화(火) 기운으로 합화(合化)하려는 작용을 의미합니다. 묘목(卯木)은 오행으로 목(木)에 해당하고, 술토(戌土)는 오행으로 토(土)에 해당합니다. 언뜻 보면 목극토(木剋土)의 상극 관계에 있지만, 술토(戌土) 안에는 지장간(地藏干)으로 정화(丁火)와 신금(辛金), 무토(戊土)가 숨어 있습니다. 묘목이 술토 안의 정화(丁火)를 생(生)하여 화기(火氣)를 강하게 만들면서 합화가 이루어진다고 설명합니다. 묘술합화의 특징과 해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합화된 오행: 묘목과 술토가 합하여 화(火) 기운으로 변하려는 성질을 가집니다. 특히 술토 안의 정화(丁火)가 묘목의 생을 받아 강해지면서 합화력이 나타..

지지육합(地支六合)에서 인해합목(寅亥合木)

명리학에서 인해합목(寅亥合木)은 지지육합(地支六合) 중 하나로, 십이지지의 인목(寅木)과 해수(亥水)가 만나 목(木) 기운으로 합화(合化)하려는 작용을 의미합니다. 인목(寅木)은 오행으로 목(木)에 해당하고, 해수(亥水)는 오행으로 수(水)에 해당합니다. 해수는 목의 장생지(長生地), 즉 목 기운이 태어나고 자라기 시작하는 곳이므로, 해수가 인목을 생(生)하는 관계가 매우 강하게 나타납니다. 인해합목의 특징과 해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합화된 오행: 인목과 해수가 합하여 목(木) 기운으로 변하려는 성질을 가집니다. 해수가 목을 강하게 생하므로 합화의 경향이 비교적 강한 편입니다. 하지만 사주 원국 전체의 구조, 다른 글자들과의 관계, 운(대운, 세운)의 영향을 고려하여 합화 여부와 강도를 판단해야 합..

지지육합(地支六合)에서 자축합토(子丑合土)

명리학에서 자축합토(子丑合土)는 지지육합(地支六合) 중 하나로, 십이지지의 자수(子水)와 축토(丑土)가 만나 토(土) 기운으로 합화(合化)하려는 작용을 의미합니다. 자수(子水)는 오행으로 수(水)에 해당하며, 축토(丑土)는 오행으로 토(土)에 해당합니다. 이 둘이 합하여 토(土)가 되는 것은 오행의 상생(相生)이나 상극(相剋) 관계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지지 간의 특별한 결합 방식입니다. 자축합토의 특징과 해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합화된 오행: 자수와 축토가 합하여 토(土) 기운으로 변하려는 성질을 가집니다. 하지만 실제로 토로 완전히 합화되는지는 사주 원국 전체의 구조, 다른 글자들과의 관계, 그리고 운(대운, 세운)의 영향을 종합적으로 보아 판단해야 합니다. 주변에 수(水)나 금(金) 기운이 강..

천간충에서 정계충(丙壬冲)

명리학에서 병임충(丙壬冲)은 천간(天干) 충(冲) 중 하나로, 천간의 병화(丙火)와 임수(壬水)가 서로 충돌하는 관계를 의미합니다. 천간 충은 기운의 상반됨으로 인해 변화와 갈등을 야기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오행(五行)과 상극(相剋):병화(丙火): 오행 중 화(火)에 해당하며, 하늘의 태양처럼 밝고 뜨거우며 만물을 비추는 양(陽)의 화(火)입니다. 밝음, 열정, 명예, 명성, 활력, 정신, 시력 등을 상징합니다.임수(壬水): 오행 중 수(水)에 해당하며, 넓은 바다나 큰 강처럼 거대하고 역동적인 양(陽)의 수(水)입니다. 지혜, 역마, 유동성, 포용력, 비밀, 방광, 신장 등을 상징합니다.오행의 상극 관계에서 물(水)은 불(火)을 극(剋)합니다(水剋火). 임수는 병화를 꺼뜨리거나 가리는 역할을 합..

천간충에서 병임충(丙壬冲)

명리학에서 병임충(丙壬冲)은 천간(天干) 충(冲) 중 하나로, 천간의 병화(丙火)와 임수(壬水)가 서로 충돌하는 관계를 의미합니다. 천간 충은 기운의 상반됨으로 인해 변화와 갈등을 야기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오행(五行)과 상극(相剋):병화(丙火): 오행 중 화(火)에 해당하며, 하늘의 태양처럼 밝고 뜨거우며 만물을 비추는 양(陽)의 화(火)입니다. 밝음, 열정, 명예, 명성, 활력, 정신, 시력 등을 상징합니다.임수(壬水): 오행 중 수(水)에 해당하며, 넓은 바다나 큰 강처럼 거대하고 역동적인 양(陽)의 수(水)입니다. 지혜, 역마, 유동성, 포용력, 비밀, 방광, 신장 등을 상징합니다.오행의 상극 관계에서 물(水)은 불(火)을 극(剋)합니다 (水剋火). 임수는 병화를 꺼뜨리거나 가리는 역할을 ..

천간충에서 을신충(乙辛冲)

명리학에서 을신충(乙辛冲)은 천간(天干) 충(冲) 중 하나로, 천간의 을목(乙木)과 신금(辛金)이 서로 충돌하는 관계를 의미합니다. 오행(五行)과 상극(相剋):을목(乙木)은 오행 중 목(木)에 해당하며, 유연하고 부드러우며 넝쿨처럼 뻗어나가는 음(陰)의 목(木)입니다. 생명력, 적응력, 유연성, 섬세함, 신경, 손가락 등을 상징합니다.신금(辛金)은 오행 중 금(金)에 해당하며, 제련된 보석, 바늘, 칼날, 날카로운 도구 등 섬세하고 예리한 음(陰)의 금(金)입니다. 정확성, 예리함, 결벽성, 신경, 피부 등을 상징합니다.을신충 역시 오행의 상극 관계인 금극목(金剋木)에 기반합니다. 하지만 양금(庚金)이 양목(甲木)을 강하게 베어내는 것과는 달리, 을신충은 음금(辛金)이 음목(乙木)을 섬세하게 자르거..

천간충에서 갑경충(甲庚冲)

명리학에서 갑경충(甲庚冲)은 천간(天干) 충(冲) 중 하나로, 천간의 갑목(甲木)과 경금(庚金)이 서로 충돌하는 관계를 의미합니다. 천간 충(冲)이란?서로 반대되는 오행(五行)과 음양(陰陽)의 기운이 만나 충돌하며 변화나 불안정성을 야기하는 관계를 말합니다. 갑경충 (甲庚冲): 甲木 vs 庚金을신충 (乙辛冲): 乙木 vs 辛金병임충 (丙壬冲): 丙火 vs 壬水정계충 (丁癸冲): 丁火 vs 癸水이 중 갑경충은 양(陽)의 기운을 가진 甲木과 양(陽)의 기운을 가진 庚金이 충돌하는 것입니다. 오행(五行)과 상극(相剋):갑목(甲木)은 오행 중 나무(木)에 해당하며, 크고 단단하며 위로 솟아오르는 양목(陽木)의 기상입니다. 시작, 리더십, 인내, 고집 등을 상징합니다.경금(庚金)은 오행 중 쇠(金)에 해당하..

지지충에서 사해충(巳亥沖)

사해충은 생지(生支)끼리의 충으로, 역마(驛馬)의 대표적인 충에 해당하며, 변화, 이동, 건강 문제, 이별 등 다양한 역동적인 현상을 암시합니다. 사(巳): 12지지 중 여섯 번째에 해당하며 음(陰)의 화(火) 기운을 가지고 있습니다. 초여름의 뜨거운 열기를 상징하며, 지혜, 총명함, 변화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내부에 무토(戊土), 경금(庚金), 병화(丙火)를 품고 있습니다. 시간으로는 오전 9시부터 11시를 나타냅니다.해(亥): 12지지 중 열두 번째에 해당하며 음(陰)의 수(水) 기운을 가지고 있습니다. 늦가을에서 겨울로 넘어가는 시기를 의미하며, 지혜, 포용력, 역마를 상징합니다. 내부에 무토(戊土), 갑목(甲木), 임수(壬水)를 품고 있습니다. 시간으로는 오후 9시부터 11시를 나타냅니다. 이처럼..

지지충에서 진술충(辰戌沖)

진술충은 둘 다 토(土)의 기운을 가지고 있지만, 그 성질과 내포된 의미가 달라 확장과 수축, 변화와 안정이라는 상반된 작용을 일으키는 충입니다. 진(辰): 12지지 중 다섯 번째에 해당하며 양(陽)의 토(土) 기운을 가지고 있습니다. 봄에서 여름으로 넘어가는 환절기를 의미하며, 습하고 물을 머금은 땅, 변화와 확장을 상징합니다. 내부에 을목(乙木), 계수(癸水), 무토(戊土)를 품고 있습니다. 시간으로는 오전 7시부터 9시를 나타냅니다.술(戌): 12지지 중 열한 번째에 해당하며 양(陽)의 토(土) 기운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을에서 겨울로 넘어가는 환절기를 의미하며, 건조하고 뜨거운 땅, 수렴과 안정을 상징합니다. 내부에 신금(辛金), 정화(丁火), 무토(戊土)를 품고 있습니다. 시간으로는 오후 7시부..

지지충에서 묘유충(卯酉沖)

묘유충은 왕지(旺地)끼리의 충이자 도화(桃花)의 충에 해당하며, 예민함, 신경성, 건강 문제, 이성 문제 등과 관련이 깊습니다. 묘(卯): 12지지 중 네 번째에 해당하며 음(陰)의 목(木) 기운을 가지고 있습니다. 봄의 절정을 의미하며, 생명력, 성장, 섬세함을 상징합니다. 내부에 갑목(甲木), 을목(乙木)을 품고 있습니다. 시간으로는 오전 5시부터 7시를 나타냅니다.유(酉): 12지지 중 열 번째에 해당하며 음(陰)의 금(金) 기운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을의 절정을 의미하며, 결실, 숙살(肅殺), 예리함을 상징합니다. 내부에 경금(庚金), 신금(辛金)을 품고 있습니다. 시간으로는 오후 5시부터 7시를 나타냅니다. 이처럼 부드러운 나무(卯)와 날카로운 쇠(酉)의 기운이 충돌하는 것을 묘유충이라고 합니다..

728x90
728x90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