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삶/산야초

특유의 향과 호흡기 질환에 좋은 "전호"

by Supuro 2025. 3. 30.
728x90
728x90

전호(前胡, Anthriscus sylvestris)는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러시아, 일본, 중국, 동유럽 등에 분포하며, 북아메리카에서는 도입되어 자랍니다. 우리나라 전역의 숲속이나 숲 가장자리에 비교적 흔하게 볼 수 있습니다. 기름나물, 천궁, 사상자와 외형이 비슷해 혼동하기 쉬운 약초입니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50~120cm로 자라며, 잎은 어긋나거나 거의 마주나며, 잎자루는 주름이 있고, 밑이 넓어져 줄기를 감쌉니다. 잎몸은 2~3번 갈라지는 깃꼴겹잎이며, 마지막 갈래는 긴 난형 또는 피침형, 가장자리는 깃꼴로 깊게 갈라지고, 잎 뒷면과 가장자리에 흰색의 단단한 털이 있습니다.

 

꽃은 5~6월에 흰색으로 피는데 줄기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난 꽃대에 겹산형꽃차례를 이룹니다. 작은 산형꽃차례에는 6~14개의 꽃이 달리며, 작은꽃싸개잎은 5, 넓은 피침형 작은꽃자루와 길이가 비슷합니다. 꽃잎은 5, 가운데에 보라색 줄이 있고, 바깥쪽이 더 큽니다. 열매는 분과이며 타원형으로 길이 5~10mm, 지름 1.0~1.5mm, 6월에 녹색이 도는 검은색이고 광택이 납니다.

 

 

전호 꽃 - 위키백과

 

 

주요 약효

전호는 예로부터 호흡기 질환, 특히 담으로 인한 기침과 가래를 치료하는 데 중요한 약재로 인식되어왔습니다. 또한 감기 초기의 풍열 증상을 완화하는 효과도 함께 기록되어 있으며, 일부 문헌에서는 눈을 밝게 하거나 정력을 보강하는 등의 다양한 효능도 언급하고 있습니다.

 

본초강목(本草綱目)에서는 거담강기(祛痰降氣), 산풍청열(散風淸熱, 담을 제거하고 기를 내리고, 풍을 흩고 열을 내림), 기침, , 해수, 천급(喘急), 흉격비민(胸膈痞悶), 풍열두통(風熱頭痛) 등을 치료한다.”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또한 북쪽에서 나는 전호(북전호)의 품질이 좋다고 언급하였습니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는 거담, 강기, 산풍청열 효능을 설명하고, 기침, , 해수, 천급, 흉격비민, 풍열두통 등에 사용한다.”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약성본초(藥性本草)에서는 주리폐기(主理肺氣), 능하흉격기(能下胸膈氣), 산풍열(散風熱), 거담연(去痰涎), 지해역(止咳逆)”으로 기록하여, 폐의 기운을 다스리고, 흉격의 기운을 내려주며, 풍열을 흩고, 담과 침을 제거하며, 기침과 딸꾹질을 멎게 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언급하였습니다.

 

  • 거담(祛痰): 담(痰)을 제거하고 가래를 삭이는 효능이 가장 중요하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끈적하고 잘 나오지 않는 담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 강기(降氣): 기(氣)를 아래로 내려주는 효능으로, 기침으로 인해 숨이 차거나 가슴이 답답한 증상을 완화합니다.
  • 선산풍열(宣散風熱): 풍열(風熱)을 흩어내는 효능으로, 감기의 초기 단계에 나타나는 발열, 두통, 인후통 등의 증상을 완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현대적인 연구 결과와 비교해 볼 때, 문헌에 기록된 전호의 거담, 진해, 해열 등의 효능은 일부 과학적으로도 밝혀지고 있습니다.

 

 

먹는 방법

전호는 약재로 사용되는 뿌리뿐만 아니라 어린잎과 줄기도 식용이 가능한 식물입니다. 먹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건강에 좋은 전호 이용 방법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1. 약재로 섭취하는 방법

()로 끓여 마시기: 잘 말린 전호 4~12g 정도를 흐르는 물에 가볍게 씻고, 1L 정도를 끓인 후 약불로 줄이고 씻은 전호를 넣어줍니다. 20~30분 정도 은은하게 달여, 물의 양이 처음의 2/3 정도로 줄어들 때까지 끓입니다. 건더기를 걸러내고 따뜻하게 마시는데, 꿀을 약간 넣어 마셔도 좋습니다. 하루 2~3회 정도 복용합니다.

한약재로 복용: 다른 약재와 함께 처방받아 복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반드시 한의사의 처방에 따라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식용으로 섭취하는 방법

  • 생으로 먹기: 어린잎과 줄기는 쌈 채소처럼 생으로 먹을 수 있습니다. 특유의 향긋한 맛이 있습니다.
  • 나물로 무쳐 먹기: 전호 잎과 줄기를 깨끗하게 씻어 끓는 물에 살짝 데친 후 찬물에 헹궈 물기를 꼭 짜줍니다. 국간장, 참기름, 다진 마늘, 깨소금 등의 양념으로 조물조물 무쳐 먹습니다.
  • 볶음 요리: 다른 채소와 함께 볶음 요리에 넣어 먹을 수 있습니다.
  • 국이나 찌개에 넣어 먹기: 국이나 찌개에 넣어 향긋한 풍미를 더할 수 있습니다.
  • 전으로 부쳐 먹기: 전호 잎을 잘게 썰어 부침가루와 섞어 전으로 부쳐 먹을 수 있으며, 건새우 등을 함께 넣어 부치면 더욱 맛있습니다.
  • 장아찌: 전호 잎이나 줄기로 장아찌를 담가 먹을 수도 있습니다.

 

 

전호는 성질이 약간 차므로 몸이 차거나 소화 기능이 약한 사람은 섭취에 주의해야 하며, 과다하게 섭취할 경우 설사나 복통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임산부 및 수유부는 섭취 전 전문가와 상담해야 합니다.

 

 

 

 

728x90
728x90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