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산나물3 베타카로틴 함량이 높은 “미역취” 미역취(학명: Solidago virgaurea subsp. asiatica)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에 널리 분포합니다. 산과 들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다른 이름으로 ‘메역취(goldenrod)’라고도 합니다. 미역취의 어린순은 나물로 먹을 수 있으며, 꽃은 꽃꽂이에 많이 사용되고, 식물체에는 사포닌이라는 물질이 들어있어서 약으로 흔히 사용되기도 합니다. 줄기는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잔털이 있고 높이 35~85cm로 자랍니다. 뿌리잎은 꽃이 필 때 스러지고 줄기잎은 어긋나며 길이 7~9cm, 폭 1~1.5cm로서 표면에 털이 약간 있으나 뒷면에 털이 없습니다. 잎 가장자리에는 뾰족한 톱니가 있고, 잎자루에 날개가 있으며 위로 올라가면서 점차 작아져 긴 타원상 .. 2025. 4. 1. 향긋함과 쌉쌀한 맛이 매력적인 봄나물 “곰취” 곰취(학명: Ligularia fischeri)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가 원산지이며, 일본, 중국, 동부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합니다. 곰취는 곰이 좋아하는 나물이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며, 그래서 다른 이름으로 '웅소(熊蔬)'라고도 합니다. 전국적으로 깊은 산의 습지에서 자생합니다. 키는 1m 정도로 자라고, 뿌리잎은 잎꼭지가 길고 심장 모양이며 날카로운 잔 톱니가 있고, 줄기잎은 작고 아랫도리는 칼집 모양으로 줄기를 싸고 있습니다. 뿌리에 달린 잎 사이에서 줄기가 나오며 보통 잎이 3장 정도 달립니다. 줄기에서 나온 잎은 뿌리에 달린 잎과 모양이 비슷하지만 크기가 작습니다. 꽃은 7~9월에 누른빛 총상 꽃차례로 핍니다. 열매 맺는 시기는 9월입니다. 곰취는 포기나누기로 번식을.. 2025. 4. 1. 체내 독소 및 중금속 배출에 효과적인 “미나리” 미나리(Oenanthe javanica)는 미나리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로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말레이시아, 인도 등 아시아 지역에서 자생하며 식용으로도 재배하기도 합니다. 기록에 의하면 『시경』의 반수(泮水) 편에 사락반수 박채기근(思樂泮水 薄采其芹, 즐거운 반수 물가에서 미나리를 가벼이 캔다.)이란 구절이 있어 춘추시대에 이미 작물화되어 길렀음을 알 수 있습니다. 『시경』에 등장하는 반수는 태학을 감싸 도는 물로서 반수에서 미나리를 캔다는 것은 태학에서 인재를 발굴한다는 의미로 조선의 성균관을 감싸 도는 개천도 반수로 불렸으며 반궁(泮宮)은 성균관의 별칭으로 쓰였습니다. 미나리를 캔다는 의미의 채근(采芹)은 인재를 발굴한다는 의미로 쓰였습니다. 미나리는 자연에서도 자생하는 식물이어서 별.. 2025. 3. 31. 이전 1 다음 728x90 728x90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