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삶/산야초

항산화 성분이 풍부한 ”지칭개“

Supuro 2025. 3. 24. 14:10
728x90
728x90

지칭개는 국화과 지칭개속에 속하는 유일한 종이며, 두해살이풀로 학명은 Hemisteptia lyrata입니다. 일본, 중국, 한국 등 아시아 온대 지역과 방글라데시, 인도, 부탄, 미얀마 등 아시아 열대 지역과 오스트레일리아에 분포합니다. 한반도에서는 길가의 평지, 공터, 밭둑 등에서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지칭개 잎 - 국립생물자원관

 

 

키는 약 80cm까지 자라며, 줄기는 곧게 서는데, 속이 비어 있고 가지가 갈라집니다. 뿌리에서 나는 잎은 냉이와 비슷하게 방석 모양으로 겨울을 나며, 줄기 밑부분의 잎은 길이 7~21cm쯤 되는데, 뒷면에 흰색 털이 빽빽하게 나고 깃꼴로 갈라집니다. 가운데 나는 잎은 잎자루가 없이 긴 타원형이며 위로 올라갈수록 선 모양이 됩니다. 꽃은 5~7월에 피는데 자줏빛을 띤 붉은색 두상화입니다. 줄기나 가지 끝에 1개씩 곧게 서서 달립니다. 열매는 긴 타원 모양의 수과이며, 관모는 깃 모양으로 두 줄이며 쉽게 떨어집니다.

 

 

지칭개 꽃 - 국립생물자원관

 

 

주요 효능

예로부터 민간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문헌 기록과 현대 연구를 통해 그 약효가 밝혀지고 있습니다.

 

 

동의보감에서는

직접적인 기록은 없으나, 유사한 효능을 가진 국화과 식물(: 고채 - 씀바귀)의 기록을 통해 간접적으로 유추할 수 있습니다. 고채는 "열을 내리고 독을 풀며 부기를 가라앉히고 어혈을 없앤다"고 기록되어 있어, 지칭개 또한 유사한 효능을 가질 것으로 여겨졌을 수 있습니다.

 

 

한국의 약용식물 (배기환 저)에서는

"맛은 쓰고 성질은 서늘하다.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부기를 가라앉히고 어혈을 없애는 기능이 있다. 치루, 조그마한 종기, 외상 출혈, 골절을 치료한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기타 문헌 및 민간에 전해지는 약효

  • 청열해독(淸熱解毒): 열을 내리고 몸 안의 독소를 배출하는 효능이 있습니다.
  • 소종(消腫): 부기를 가라앉히는 효과가 있습니다.
  • 거어(祛瘀):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어혈을 풀어주는 효능이 있습니다.
  • 지혈(止血): 피를 멎게 하는 효과가 있어 외상 출혈 등에 사용되었습니다.
  • 소염(消炎): 염증을 가라앉히는 효능이 있어 종기, 유선염 등에 사용되었습니다.
  • 골절 치료: 찧어서 환부에 붙여 골절 부위를 싸매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현대적 연구를 통해 밝혀진 추가적인 효능

  • 항암 효과: 최근 연구에서 지칭개 추출물이 암세포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특히 헤미스텝신 B라는 성분이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 항균 효과: 지칭개에 함유된 테라마이신 유사 성분이 항균 작용을 나타냅니다.
  • 항염 효과: 지칭개 추출물이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연구되었습니다.
  • 간 기능 개선: 실리마린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간세포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항산화 효과: 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 등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여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지칭개는 예로부터 해열, 해독, 소염, 지혈 등의 효능으로 민간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문헌 기록을 통해서도 일부 효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대 연구를 통해 항암, 항균, 항염, 간 기능 개선, 항산화 효과 등이 새롭게 밝혀지면서 그 약용 가치가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먹는 방법

지칭개는 어린잎과 줄기를 나물로 먹거나 약용으로 활용하는 식물입니다, 쌉쌀한 맛이 특징이며, 먹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풍미를 즐길 수 있습니다.

 

1. 어린잎과 줄기를 나물로 먹기

생으로 먹기: 아주 어린잎은 깨끗하게 씻어 쌈 채소로 먹거나 샐러드에 넣어 먹을 수 있습니다. 쌉쌀한 맛이 입맛을 돋우는 역할을 합니다.

데쳐서 무쳐 먹기: 끓는 물에 소금을 약간 넣고 지칭개를 넣어 살짝 데칩니다. 너무 오래 데치면 물러지니 주의하세요. 데친 지칭개를 찬물에 헹궈 물기를 꼭 짜고, 된장, 고추장, 참기름, 다진 마늘, 다진 파, 깨소금 등을 넣어 조물조물 무쳐 먹습니다. 쌉쌀한 맛이 부드러워지고 양념과 잘 어우러집니다.

국이나 찌개에 넣어 먹기: 데친 지칭개를 된장찌개, 맑은국 등에 넣어 시원하고 쌉쌀한 맛을 더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에 넣어 살짝 끓이는 것이 좋습니다.

비빔밥 재료로 활용하기: 다른 나물들과 함께 비빔밥 재료로 넣어 다양한 맛과 영양을 즐길 수 있습니다.

 

 

2. 볶아서 먹기

데친 지칭개를 기름에 살짝 볶아 소금이나 간장으로 간을 합니다. 다진 마늘이나 양파를 함께 볶으면 풍미가 더욱 좋아집니다.

 

 

3. 전으로 부쳐 먹기

지칭개를 잘게 썰어 밀가루나 부침가루 반죽에 섞어 기름에 노릇하게 부쳐 먹습니다. 쌉쌀한 맛과 쫄깃한 식감이 잘 어울립니다.

 

 

4. 약용으로 활용하기

말려서 차로 마시기: 깨끗하게 씻은 지칭개를 햇볕에 잘 말린 후 뜨거운 물에 우려내어 차로 마실 수 있습니다. 은은한 향과 쌉쌀한 맛이 있습니다.

찧어서 환부에 붙이기: 민간에서는 지칭개를 찧어 종기나 상처 부위에 붙여 소염 및 지혈 효과를 보기도 했습니다.

 

 

지칭개는 성질이 서늘하므로 몸이 차거나 소화 기능이 약한 사람은 과다 섭취에 주의하는 것이 좋으며, 임산부나 특이 체질인 경우 전문가와 상담 후 섭취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지칭개는 독특한 쌉쌀한 맛과 함께 다양한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어 건강에 도움이 되는 나물입니다. 다양한 조리법으로 즐겨보시기 바랍니다.

 

 

 

728x90
728x90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