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삶/산야초

음양곽이라는 자양강장제로 쓰는 “삼지구엽초”

by Supuro 2025. 4. 23.
728x90
728x90

삼지구엽초(三枝九葉草, Epimedium koreanum)는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한국 중부 이북의 산지 숲속에 자랍니다. 가지가 3개로 갈라지고 각가지마다 3장의 잎이 달리기 때문에 9개의 잎이 달리는 특징에서 삼지구엽초라는 이름이 유래했습니다.

 

 

삼지구엽초 - 위키백과

 

 

한방에서 음양곽이라 하여 자양강장제로 쓰며, 선령비, 방장초 등으로도 불립니다. 최음·강장·강정·거풍 등에 효과가 있어 보통은 물에 달여 마시지만, 술을 담가 먹어도 좋습니다. 이 술의 이름은 선령비주(仙靈脾酒)라고 하며, 잎, 줄기, 뿌리 전체를 약으로 쓰고, 맛은 맵고 달며 약성은 따뜻하고 간·신경에 작용합니다.

 

 

삼지구엽초 꽃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비교적 서늘하고 그늘진 환경을 좋아하며, 부엽질이 풍부하고 물 빠짐이 좋은 토양에서 잘 자랍니다. 주로 해발고도 200~600m 정도의 계곡이나 반그늘 환경에서 발견되며, 햇볕에 직접 노출되면 생육에 장해를 받을 수 있습니다. 잎과 꽃의 모양이 독특하므로 관상용으로도 가치가 높습니다.

 

높이는 30cm 정도이고, 땅속에 옆으로 기는 뿌리줄기에서 여러 개의 뿌리잎이 나옵니다.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며, 줄기잎은 잎자루가 짧습니다. 잎은 2회 3출 겹잎으로, 작은 잎은 다소 좌우비대칭인 달걀 모양 또는 심장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습니다. 꽃은 4~5월에 황백색의 작은 꽃이 줄기 끝의 총상꽃차례로 아래를 향해 피며, 꽃받침은 8개로 바깥 둘레의 4개는 일찍 떨어지며, 안쪽의 4개는 달걀 모양의 긴 타원형으로 밝은 자색을 띱니다. 꽃잎은 4개로 긴 꿀주머니를 가지고 있으며, 보통 엷은 자색인데 분홍색이나 흰색인 것도 있으며, 열매는 8월에 끝이 뾰족한 원기둥 모양의 삭과를 맺습니다. 

 

 

주요 효능

삼지구엽초는 문헌적으로 다양한 약효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한방에서는 삼지구엽초의 잎과 줄기를 말린 것을 음양곽(淫羊藿)이라고 부르며, 주로 다음과 같은 효능으로 사용되었습니다.

 

  • 신양(腎陽) 보강 및 강정(强精): 여러 문헌에서 음양곽이 남성의 성 기능 강화에 효과가 있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신장의 양기를 보충하고 정(精)을 늘려 발기부전, 조루, 성욕 감퇴 등에 사용되었습니다. 특히, 옛날 중국에서 양이 이 풀을 먹고 발정하여 하루에 백 번 교미했다는 이야기에서 '음양곽'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전해집니다.
  • 거풍습(祛風濕) 및 강근골(强筋骨): 바람과 습기로 인해 발생하는 마비, 저림, 관절 통증 등의 증상을 완화하고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힘이 없는 증상(요슬무력)에도 사용되었습니다.
  • 이뇨(利尿) 작용: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효능이 있어 배뇨 곤란이나 부종 등에 활용되었습니다.
  • 건망증 및 신경쇠약: 정신을 맑게 하고 기억력을 증진시키며, 신경쇠약으로 인한 불안, 불면 등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혈액순환 개선: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어혈을 제거하고 몸을 따뜻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 기타: 일부 문헌에서는 여성의 불임, 히스테리, 고혈압, 당뇨 등에도 효과가 있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옹종(癰腫)이나 악창(惡瘡) 등의 피부 질환에도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주요 성분 및 현대적 연구:

  • 삼지구엽초의 주요 약효 성분으로는 이카린(icariin), 플라보노이드, 알칼로이드, 사포닌 등이 알려져 있습니다. 현대 약리학적 연구를 통해 이카린은 혈관 확장, 혈압 강하, 항산화, 항염, 면역 증진, 골다공증 예방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습니다.

 

 

먹는 방법

삼지구엽초는 다양한 방법으로 섭취할 수 있습니다. 다만, 약성이 강하므로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 후 적절한 용량을 복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몸에 열이 많거나 특정 질환이 있는 경우 섭취에 주의해야 합니다.

 

 차(茶)로 마시는 방법:

  • 말린 삼지구엽초: 말린 삼지구엽초 10~15g 정도를 물 1~2L에 넣고 끓입니다. 물이 끓기 시작하면 약불로 줄여 30분~1시간 정도 은근하게 달입니다. 쓴맛이 강할 수 있으므로 대추, 감초 등을 함께 넣어 끓이면 마시기 좋습니다. 달인 물은 냉장보관하고 하루 2~3잔 정도 따뜻하게 데워 마십니다.
  • 신선한 삼지구엽초 잎: 신선한 잎 30~40g을 물에 넣고 달여 마실 수 있습니다.

 

술(藥酒)로 담가 마시는 방법(음양곽주):

  • 말린 삼지구엽초 50~100g에 25도 이상의 담금용 술 1.8~2L를 부어줍니다. 기호에 따라 설탕이나 꿀을 약간 첨가할 수 있습니다. 용기를 밀봉하여 서늘하고 그늘진 곳에서 최소 3개월 이상 숙성시킵니다. 1년 정도 숙성하면 더욱 깊은 맛과 효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숙성 후 건더기를 걸러내고 하루에 소주잔으로 1~2잔 정도 마십니다. 다른 약재(구기자, 대추 등)를 함께 넣어 담그기도 합니다.

 

생으로 먹거나 나물로 먹는 방법:

  • 봄에 돋아나는 어린잎과 꽃은 살짝 데쳐서 찬물에 헹군 후 나물로 먹을 수 있습니다. 어린잎은 쓴맛이 덜합니다. 신선한 잎을 찧어 즙을 내어 먹기도 합니다. 이때 18~25% 정도의 술을 약간 넣어 함께 복용하기도 합니다.

 

엑기스나 환(丸) 형태로 섭취하는 방법:

  • 최근에는 삼지구엽초 엑기스나 환 제품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어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제품은 제조사의 권장 복용법에 따라 섭취하면 됩니다.

 

 

주의사항:

삼지구엽초는 약성이 강하므로 반드시 전문가의 처방에 따라 복용해야 합니다. 특히 몸에 열이 많은 사람이나 소양 체질의 사람은 과다 섭취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일부 연구에서는 과다 복용 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보고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삼지구엽초(음양곽)는 예로부터 남성 강장, 근골 강화, 풍습 제거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어 온 약재이며, 현대 연구를 통해 다양한 약리 활성이 밝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반드시 전문가의 지도하에 적절한 용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28x90
728x90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