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삶/산야초

망개떡으로 유명한 “청미래덩굴”

by Supuro 2025. 4. 12.
728x90
728x90

청미래덩굴(Smilax china)은 백합목 청미래덩굴과에 속하는 덩굴성 떨기나무입니다.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산이나 들의 양지바른 곳에서 잘 자라며, 덩굴성 줄기를 이용하여 다른 식물이나 물체를 감아 올라가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청미래덩굴 잎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경상도 지방에서는 명감나무, 전라도에서는 종가시덩굴, 황해도에서는 매발톱가시, 강원도에서는 참열매덩굴이라고 부르며, 흔히 멍개나무 또는 망개나무로 부릅니다. 한방에서는 토복령(土茯領) 또는 산귀래(山歸來)라고 쓰입니다.

 

팥을 재료로 떡을 만들면 장기간 보관이 불가능하지만, 망개잎으로 떡을 감싸주면 천연방부재로 더운 여름날에도 상하지 않고 보관 가능했습니다. 잎의 향기로움까지 떡에 배어 망개떡 고유의 독특한 맛을 내줍니다. 옛날에는 망개떡을 여름에 맛볼 수 있었는데, 지금은 여름에 채취한 망개잎을 염장하여 저장하므로 사철 맛볼 수 있습니다.

 

 

청미래덩굴 꽃 - 국립생물자원관

 

 

줄기는 덩굴성으로 가시가 있으며, 마디마다 굽어져 3m까지 자랍니다. 잎은 어긋나게 자라고, 둥글거나 넓은 타원형으로 길이 3~12cm, 2~10cm이며 윤기가 있습니다. 잎자루는 길이 1~2cm이며, 턱잎은 끝이 2개의 덩굴손으로 변합니다. 꽃은 암수딴그루로 5~6월에 잎겨드랑이에서 꽃자루가 나와 녹색의 작은 꽃이 산형꽃차례를 이루면서 달립니다. 열매는 9~10월에 붉게 익는데, 둥글고 지름 7~8mm 정도의 장과입니다.

 

 

청미래덩굴 열매 - 국립생물자원관

 

 

 

주요 효능

청미래덩굴은 예로부터 다양한 질병 치료에 사용되어 온 약용식물입니다. 문헌에 기록된 청미래덩굴의 주요 효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해독 작용: 체내 독소를 배출하여 해독 작용을 합니다. 특히 수은 중독을 비롯한 각종 중금속 중독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이뇨 작용 및 염증 완화: 이뇨 작용을 촉진하여 체내 노폐물 배출을 돕고 부종을 완화합니다. 항염 작용이 있어 각종 염증성 질환 치료에 사용되며, 특히 비뇨기계 염증(방광염, 요도염, 신우염 등)에 효과적입니다.
  • 피부 질환 치료: 피부 염증을 완화하고 해독 작용을 하여 각종 피부 질환 치료에 사용됩니다. 매독과 같은 성병 치료에도 사용되었습니다.
  • 관절 질환 치료: 관절의 통증을 완화하고 염증을 줄여주어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등 관절 질환 치료에 사용됩니다.
  • 항암 효과: 중국과 북한에서는 뿌리를 항암제로 이용하였고, 항암본초에서는 청미래덩굴 달인물이 암세포를 억제하는 효능이 있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동의학사전에서는

청미래덩굴 뿌리는 열을 내리고 습을 없애며 독을 푸는 효능이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또한, 뼈마디가 아픈 데, 매독, 연주창, 헌데, 악창, 수은 중독 등에 사용됩니다.

 

중국본초도록에서는

거풍이습, 해독소종 효능이 있으며, 풍습관절통, 질타손상, 위장염, 이질, 소화불량, 당뇨병, 유선염, 백대하, 암종 등에 사용된다.”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먹는 방법

청미래덩굴은 뿌리, , 줄기, 열매 등 다양한 부분을 식용 또는 약용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각 부분별로 먹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뿌리 (토복령)

  • 차로 달여 마시기: 말린 청미래덩굴 뿌리(토복령) 20~40g을 물 1.5~2L에 넣고 약한 불로 30분~1시간 정도 달인 후 하루 2~3회 나누어 마십니다. 기호에 따라 생강, 감초 등을 함께 넣어 끓여도 좋습니다.
  • 술에 담가 마시기: 청미래덩굴 뿌리를 깨끗이 씻어 말린 후 술에 담가 숙성시켜 마십니다.
  • 밥이나 떡에 넣어 먹기: 청미래덩굴 뿌리를 잘게 썰어 물에 담가 쓴맛을 우려낸 후 쌀과 함께 밥을 짓거나 떡을 만들어 먹습니다.

 

2.

  • 차로 달여 마시기: 청미래덩굴 잎을 깨끗이 씻어 말린 후 차로 달여 마십니다. 잎을 덖거나 볶아서 차로 만들어도 좋습니다.
  • 나물로 무쳐 먹기: 어린 청미래덩굴 잎은 나물로 무쳐 먹을 수 있습니다.
  • 떡을 싸는 용도로 사용: 경상도 지방에서는 청미래덩굴 잎으로 망개떡을 싸서 먹습니다.

 

3. 줄기

  • 효소로 만들어 먹기: 청미래덩굴 줄기를 잘게 썰어 설탕과 함께 발효시켜 효소로 만들어 먹습니다.

 

4. 열매

  • 생으로 먹거나 술에 담가 마시기: 청미래덩굴 열매는 생으로 먹거나 술에 담가 마실 수 있습니다.
  • 잼이나 술로 만들어 먹기: 청미래덩굴 열매로 잼이나 술을 만들어 먹을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청미래덩굴은 약용식물이므로, 섭취 전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임산부나 수유부, 특정 질환이 있는 사람은 섭취에 주의해야 합니다.

청미래덩굴 뿌리를 장기간 섭취 시 변비가 생길 수도 있으므로 쌀뜨물과 같이 끓이면 변비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728x90
728x90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