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삶/산야초

지혈과 활혈거어, “부처손”의 신비로운 힘 파헤치기

Supuro 2025. 6. 8. 21:48
728x90
728x90

부처손(Selaginella involvens)은 부처손과 부처손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한국, 중국, 일본, 타이완, 아무르, 몽골, 시베리아, 필리핀 등에 분포하며, 우리나라 전국 산지의 건조한 바위 겉에 붙어서 자라는 상록성 양치식물입니다. 바위손(Selaginella tamariscina (Beauv.) Spring), 개부처손(Selaginella stauntoniana Spring) 등과 비슷해 보이나, 부처손은 잎이 모여나지 않는 점에서 바위손과 구별되며, 잎의 밑부분에 털처럼 생기는 돌기가 거의 없는 점에서 개부처손과 구별됩니다.

 

 

바위손 - 위키백과

 

 

한방에서는 부처손의 지상부를 권백(卷柏)이라 하여 볶아서 쓰는데, 토혈 · 대변 출혈 · 자궁출혈에 효력이 있다고 하며, 생것으로 쓰면 혈액순환을 활성화하여 월경이 없을 때나 월경통에 효력을 나타내고 타박상에도 어혈과 통증을 감소시킨다고 하네요. 임상 실험보고서에는 치질 출혈, 외상 출혈, 인후암, 폐암, 자궁경부암, 유선암, 피부암, 신장암, 위암, 직장암, 간암, 욕창 등에 효과를 보였다고 하네요.

 

 

바위손 - 위키백과

 

 

부처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아토피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등에 관한 특허 출원이 있고, 부처손에서 얻은 아멘토플라본(Amentoflavone)의 항진균 효과 등에 관한 연구가 있습니다.

 

 

바위손 - 국립생물자원관

 

 

줄기는 땅속줄기에서 1개씩 나오며, 줄기의 끝에서 2~3가닥 사방으로 퍼지고, 높이는 20㎝ 정도로 자랍니다. 가지마다 난상 긴 타원형으로 잎이 성글게 붙는데, 가지와 잎의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이 도는 녹색입니다. 땅속줄기는 땅속이나 이끼 사이로 뻗으면서 비늘 같은 잎으로 덮이고 끝이 지상으로 곧추 자랍니다.

 

배 쪽의 잎은 난형 또는 넓은 난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잔 톱니가 있고, 등 쪽의 잎은 난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대체로 배 쪽보다 작습니다. 포자 잎은 삼각상 난형으로 길이 1mm 정도로 끝이 바늘처럼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습니다.

 

포자낭 이삭은 길이 5~25mm, 지름 1mm 정도로 잔가지 끝에 사각기둥 모양으로 1개씩 달립니다. 달걀 모양의 3각형이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끝이 실처럼 가늡니다.

 

 

주요 효능

부처손은 한약명으로 권백(卷柏)이라 불리며, 전통의학 문헌에서 다양한 약효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특히 그 생명력이 강인하여 장생초(長生草), 구사환혼초(九死還魂草), 회양초(回陽草) 등으로도 불립니다.

 

지혈(止血) 작용:

  • 볶아서 사용 시 (炒炭用: 검게 볶아서 사용): 문헌에서는 부처손을 검게 볶아 사용하면 강력한 지혈 효능을 나타낸다고 강조합니다.
  • 토혈(피를 토하는 것), 육혈(코피), 변혈(대변 출혈), 요혈(소변 출혈), 자궁 출혈 등 각종 내외부 출혈에 효과적이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는 『본초강목』 등 여러 고전 문헌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활혈거어(活血祛瘀) 작용:

  • 생것으로 사용 시 (生用): 생 부처손은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하고 몸 안에 정체된 어혈(瘀血)을 풀어주는 효능이 있습니다.
  • 경폐(經閉) 및 징가(癥瘕): 여성의 월경불순, 월경이 나오지 않는 증상(경폐), 그리고 아랫배에 덩어리가 생기거나 통증을 동반하는 증상(징가, 자궁근종 등)에 사용됩니다. 혈액순환을 개선하여 월경이 원활하게 통하게 합니다.
  • 질타손상(跌打損傷): 타박상이나 낙상 등으로 인한 어혈과 통증에 사용됩니다.

 

기타 문헌 기록:

  • 『신농본초경』: "맛은 맵고(辛) 따뜻하며(溫) 산골짜기에서 난다. 오장(五臟)의 사기(邪氣), 여자 음부의 차갑고 뜨거운 통증, 징가, 혈폐(血閉), 자식이 없는 것을 주로 치료한다. 오랫동안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얼굴빛이 좋아진다."
  • 『명의별록』: "맛은 달고(甘) 평하며(平) 약간 차고(微寒) 독이 없다. 기침을 멎게 하고, 탈항을 치료하며, 임파선 결절을 풀어주고, 머리 속의 풍현(風眩), 위축되고 약해진 다리를 치료하며, 음(陰)을 강하게 하고 정(精)을 더한다. 오랫동안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얼굴빛이 좋아지고 용모가 좋아진다."
  • 조경(調經): 월경을 조절하는 효능이 있다고 『조선왕조실록사전』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 치질, 탈항: 치질로 인한 부종 및 통증, 탈항 치료에도 사용된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항암 효능 (근대 이후 연구 및 임상 보고): 

  • 전통 문헌에 직접적으로 항암 효능이 명시되지는 않았으나, 현대에 와서 부처손이 암세포 억제에 효과를 보인다는 임상 및 연구 결과가 다수 보고되고 있습니다. 특히 폐암, 비인후암, 융모상피암 등에 응용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다만, 이는 전통적인 문헌의 범주를 넘어선 부분입니다.

 

부처손은 생것으로 사용하느냐, 볶아서 사용하느냐에 따라 주된 효능이 달라진다는 것이 중요합니다. 생것은 어혈 제거 및 혈액순환 촉진에, 볶은 것은 지혈에 주로 사용됩니다.

 

 

먹는 방법

부처손은 약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식물이며, 복용 방법에 따라 효능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부처손은 식품 원료로 사용이 허가되지 않은 약용식물이며, 섭취 시 주의가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특히 과다 섭취 시 독성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으므로,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 후 복용해야 합니다.

[광고] 건강에 좋은 부처손 이용 방법

 

1. 달여서 차처럼 마시기 (가장 일반적인 방법)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 준비물: 건조된 부처손 (보통 뿌리에 흙이 많으니 깨끗하게 세척하고 말린 것을 사용), 물, (선택적으로) 감초, 대추, 생강 등
  • 용량: 일반적으로 하루 2~9g 정도를 사용합니다. 개인의 체질이나 증상에 따라 조절해야 합니다.
  • 끓이는 방법: 깨끗하게 씻은 부처손을 물에 넣고 끓입니다. 처음에는 센 불로 끓이다가 끓기 시작하면 약불로 줄여 30분~1시간 정도 더 달입니다. 이때, 부처손의 쓴맛을 중화하고 약효를 돕기 위해 감초나 대추를 함께 넣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대추는 부처손의 폴리페놀 성분 흡수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달인 물은 냉장 보관하여 필요할 때마다 차처럼 마십니다.
  • 주의: '검게 볶아서' 달이느냐, '생것으로' 달이느냐에 따라 효능이 달라지므로 목적에 맞게 사용해야 합니다. 1) 지혈 목적: 부처손을 검게 볶아서 달입니다. 2) 어혈 제거 및 혈액 순환 목적: 생것 또는 가볍게 말린 것을 달입니다.

 

2. 약술 (담금주)

  • 준비물: 건조 부처손 100~150g, 담금용 소주 1.5~2리터 (도수가 높을수록 좋음), 밀폐 용기
  • 담그는 방법: 부처손과 유리병을 깨끗하게 씻어 물기를 완전히 제거합니다. 부처손을 용기에 넣고 소주를 부어 밀봉합니다. 시원하고 직사광선이 들지 않는 곳에 보관하며, 3개월 정도 숙성시킨 후 건더기를 걸러내고 술만 보관합니다. 
  • 복용: 하루 한두 잔씩 약술로 소량 복용합니다.

 

3. 효소 (발효액)

  • 준비물: 부처손, 설탕 (부처손과 설탕 1:1 비율)
  • 만드는 방법: 부처손을 깨끗이 손질하여 물기를 제거합니다. 부처손과 설탕을 1:1 비율로 섞어 용기에 담습니다. 직사광선이 들지 않는 시원한 곳에 보관하며, 3일에 한 번씩 저어줍니다. 1년 정도 숙성 후 부처손 건더기를 건져내고 2차 숙성 과정을 거쳐 음용합니다.

 

4. 외용

  • 족욕, 반신욕: 부처손과 생강을 끓여 우려낸 물을 욕탕에 섞어 족욕이나 반신욕을 합니다. 치질이나 부인과 질환에 민간에서 활용되기도 합니다.
  • 짓찧어 붙이기: 외상 출혈 시 짓찧은 부처손을 환부에 직접 붙여 지혈을 돕거나, 피부염이나 종기 등에 활용하기도 합니다.

 

 

가장 중요한 주의사항:

  • 독성 및 부작용: 부처손은 약성이 강한 약초로, 과다 복용 시 위장 부담, 어지러움, 메스꺼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일부 문헌에서는 강한 독성이 있어 정상 세포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경고하기도 합니다.
  • 임산부 절대 금기: 부처손은 혈액 순환을 강하게 촉진하고 어혈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어 임산부에게는 유산의 위험이 있으므로 절대 복용해서는 안 됩니다.
  • 식용 불가: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부처손을 '식품에 사용할 수 있는 원료'로 등재하지 않고 있습니다. 즉, 일반 식품으로 섭취하는 것은 허가되지 않습니다. 건강기능식품이나 의약품으로 활용될 수 있으나, 일반인이 무분별하게 채취하여 섭취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 전문가와 상담: 만약 부처손을 약용으로 사용하고자 한다면, 반드시 한의사나 의사와 같은 전문가와 상담하여 자신의 체질과 증상에 맞는 정확한 용량과 복용 방법을 처방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처손은그 약효가 뛰어난 약초이지만, 잘못 복용할 경우 부작용이 생길 수 있으니 항상 신중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728x90
728x90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