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삶/산야초

아름답지만 치명적인 독초: “미국자리공”의 진실과 위험성

Supuro 2025. 6. 5. 08:00
728x90
728x90

미국자리공(American pokeweed)은 자리공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미국이 원산지이며, 우리나라에는 1950년도 구호물품과 함께 들어온 것으로 추정됩니다. 독소를 내뿜고, 독성 열매가 땅에 떨어지면서 주변 토양을 산성화하며, 5~6년 생육하다가 자체 독성으로 소멸한다는 도시전설이 유포되기도 하였습니다.

 

 

미국자리공 - 나무위키

 

 

색깔이 진한 열매는 즙이 많아서 익은 열매가 떨어지면 바닥이 지저분해지고 옷에 즙이 묻으면 잘 지워지지 않습니다. 제초제에도 안 죽고 버티는 지독한 잡초로 울산과 여천 공단 주변 숲에서 급속히 번져 우리나라 자연생태계를 교란하는 ‘독초의 대명사’가 되었으며, 1990년대 황소개구리와 더불어 전국을 들썩이게 만든 식물로 ‘생태계교란종’입니다.

 

 

미국자리공 - 국립생물자원관

 

 

자리공 종류는 모두 살충제로 쓰고, 예전에는 사약에 넣던 독초로 사용되었습니다. 잎, 줄기, 뿌리, 열매 모두 독이 있으며 열매를 생식하면 혀가 마비되고, 생즙에 닿으면 커다랗게 물집이 잡히며, 인삼이나 더덕과 비슷하게 생긴 뿌리를 먹고 중독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하여 한약재로도 잘 쓰이지 않습니다.

 

 

미국자리공 - 국립생물자원관

 

 

유독식물이지만 본고장인 미국에서는 서부개척시대부터 먹었던 식물입니다. 열매는 씨앗을 제거해서 젤리나 파이를 만들어 먹었으며 가짜 포도주를 만드는 데 사용하기도 했으며, 어린잎과 줄기는 나물처럼 데쳐 먹는데, 세 번을 데쳐서(한번 데칠 때마다 물은 버린다) 사실상 푹 익혀 먹습니다. 인디애나주에서는 껍질을 깐 줄기를 튀겨먹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토종 자리공을 어찌어찌 독을 빼서 먹었으며, 뿌리도 식초 물에 끓여서 상륙(商陸)이란 한 약재로 사용하였습니다. 경상도에서도 '장녹나물'이라고 해서 나물로 먹거나 묵나물을 먹었으나, 미국에서 세 번씩이나 데쳤는데도 중독사고가 날 정도로 독성이 강하기에 제대로 할 줄 모른다면 차라리 안 먹는 것이 좋습니다.

 

 

미국자리공 - 국립생물자원관

 

 

줄기는 1~2m 정도로 자라고, 적자색으로 전체에 털이 없습니다.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합니다. 꽃은 6~9월에 줄기에서 나오는 총상꽃차례에 붉은빛이 도는 흰색 꽃이 촘촘히 돌려 달립니다. 열매는 9~10월에 밑으로 처지며 달리고 둥글납작하며 초록색에서 점차 검은색으로 익으며 10개의 골이 있고, 지름은 7~8mm 정도이며 속에 씨가 1개씩 들어있습니다.

 

 

주요 효능

미국자리공은 한방에서는 주로 상륙(商陸)이라는 약재로 사용되며, 주로 뿌리를 활용하였고 전통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효능이 있는 것으로 언급되었습니다.

 

이수소종(利水消腫):

  • 몸의 부종을 제거하고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만성 신우신염, 심장성 부종, 복수, 늑막염 등으로 인한 전신 부종에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이는 강한 이뇨 작용을 통해 체내 불필요한 수분을 배출하는 효과를 기대한 것입니다.

 

해독산결(解毒散結):

  • 종기, 악창(惡瘡), 피부병 등 외과적인 질환에 독성을 이용한 해독 및 뭉친 것을 풀어주는 작용이 있다고 보았습니다.
  • 진균(곰팡이)에 의한 피부병이나 종기 등에 짓찧어 붙이는 외용제로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 일부 문헌에서는 항암 연구에 대한 주목이 언급되기도 하나, 이는 극히 초기 단계의 연구이며 사람에게 적용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기타 효능(전통적인 민간요법 및 비과학적 주장):

  • 과거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미국자리공을 약, 음식(어린잎을 조리하여), 염료 등으로 사용했습니다.
  • 류머티즘 치료에도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 일부 지역에서는 어린잎을 데쳐서 나물로 먹었다는 기록도 있으나, 이는 독성을 제거하는 매우 복잡하고 위험한 과정을 거쳐야만 가능합니다.(끓는 물에 여러 번 데치고 물을 갈아주는 과정 반복)

 

 

강조되어야 할 독성 및 위험성

  • 주요 독성 성분: 피톨라카톡신(phytolaccatoxin), 사포닌, 질산칼륨(뿌리, 열매) 등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 독성 증상: 구토, 설사, 복통 등 급성 위장관염 증상이 나타나며, 심한 경우 중추신경 마비, 호흡곤란, 경련, 혼수, 혈소판 감소, 유산,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 오인 사고: 뿌리가 인삼, 더덕, 도라지 등과 비슷하게 생겨 채취 후 오인하여 섭취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 전문가 지시 필수: 전통의학에서도 상륙을 사용할 때는 독성을 약화시키기 위해 특정 법제 과정을 거치거나 다른 약재와 배합하는 등 매우 신중하게 다루었습니다. 현대에는 그 위험성 때문에 약용으로도 사용이 제한적이며, 절대로 개인적으로 복용하거나 민간요법으로 사용하는 것은 금기입니다.

 

 

미국자리공은 식물 전체에 독성이 있어 식용 및 약용 시 극도의 주의가 요구되는 식물임을 명심해야 합니다.

 

 

 

728x90
728x90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