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삶/산야초

단오에 만들어 먹는 세시음식 “수리취”떡

Supuro 2025. 4. 28. 08:56
728x90
728x90

수리취(Synurus deltoides)는 국화과 여러해살이풀로 한국, 중국, 일본, 시베리아에 분포하며, 우리나라 전역 높은 산지의 햇볕이 잘 드는 초원이나 고원에 자생합니다. 예로부터 수리취의 어린잎을 채취하여 가볍게 데친 후 잠시 물에 우려내어 쌈이나 나물로 먹었으며, 떡을 해 먹기도 하였습니다. 그래서 다른 이름을 떡취, 개취, 산우방(山牛蒡)이라고도 합니다. 중국에서는 '산에서 자라는 우엉'이라는 뜻으로 '산우방(山牛蒡)'이라 부릅니다. 약효도 밭에서 자라는 우엉과 비슷하거나 더 뛰어난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수리취 (뒷면의 색상)

 

 

줄기는 높이 1m로 자라고 곧게 서며 줄기에 얕은 홈이 패인 듯 세로줄이 있으며 흰 솜털이 있습니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거나 달걀에 가까운 타원 모양이며 긴 털이 있습니다. 아래쪽 잎일수록 크고 잎자루가 길며,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뒷면에는 흰색의 부드러운 털이 빽빽하게 있습니다. 꽃은 8~9월에 지름 5cm 정도의 자갈색으로 땅을 향하여 핍니다. 총포(總苞)는 흰색 털로 덮여 있고, 꽃턱잎은 꽃 주위를 무성하게 둘러싸고 있는데, 꽃턱잎 조각은 끝이 뾰족합니다. 열매는 삭과로 긴 타원형입니다.

 

 

주요 효능

수리취는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에서 자생하는 식물로, 예부터 전통의학 문헌에서 다양한 약효를 지닌 약재로 기록되어 왔습니다. 한의학에서는 주로 그 뿌리를 약용하며 '산우방(山牛蒡)'이라는 이름으로 불립니다. 문헌에 나타난 수리취의 주요 약효는 다음과 같습니다.

 

청열해독(淸熱解毒) 및 소종(消腫):

수리취는 성질이 차고 맛이 맵다고 알려져 있으며, 열을 내리고 몸 안의 독소를 제거하는 효능이 뛰어납니다. 또한, 부종이나 종기를 가라앉히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이는 림프절의 결핵성 염증인 나력(瘰癧), 각종 피부 발진이나 헌데 등의 치료에 활용되었음을 시사합니다. 인후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에도 적용되었습니다.

 

거풍(祛風) 및 해표(解表):

바람의 사기(風邪)를 제거하고 땀을 통해 병사를 밖으로 내보내는 효능이 있어 감기로 인한 기침과 발열, 두드러기 등에 사용되었습니다.

 

이뇨(利尿) 및 통변(通便):

소변을 잘 통하게 하여 부종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풍부한 식이섬유는 변비 해소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기타 효능:

일부 문헌에서는 수리취가 폐경(肺經)과 위경(胃經)에 작용하여 기침과 가래를 삭히고, 소화를 돕는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동의보감에 따르면 아홉 개의 구멍(눈, 귀, 코, 입, 전음, 후음 등)을 열어 통하게 하고 오장(五臟)을 보하며, 팔다리가 저린 증상, 뱃속의 벌레를 죽이는 효능, 건망증 개선 및 지혜를 기르게 하는 효능, 명치와 배의 통증을 치료하는 효능 등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출혈을 멈추게 하거나 토혈을 다스리는 데도 사용된 기록이 있습니다.

 

 

먹는 방법

수리취는 주로 어린잎과 줄기를 식용하며, 특히 수리취떡으로 만들어 먹는 것이 가장 대표적입니다. 단오(음력 5월 5일)에 만들어 먹는 세시음식으로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

건강에 좋은 수리취(떡취) 이용 방법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수리취떡: 어린 수리취 잎을 멥쌀가루나 찹쌀가루와 함께 빻아 반죽하여 떡을 만듭니다. 쑥떡과 유사하지만 수리취 특유의 진하고 향긋한 풍미와 쫄깃한 식감이 특징입니다. 절편, 인절미 등 다양한 형태로 즐길 수 있으며, 콩고물이나 팥앙금을 곁들이기도 합니다. 수리취는 섬유질이 많아 떡으로 만들 때 충분히 삶고 빻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 나물: 부드러운 어린잎은 데쳐서 나물로 무쳐 먹을 수 있습니다. 소금, 간장, 다진 마늘, 참기름, 깨소금 등을 넣어 간을 맞춰 먹습니다. 다만, 수리취는 성장하면서 줄기가 다소 질겨지므로 어린잎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기타 요리: 데친 수리취를 잘게 다져 전(부침개)에 넣거나 국에 활용하기도 합니다.

 

수리취는 특유의 향과 영양을 지니고 있어 다양한 방법으로 섭취할 수 있지만, 질긴 식감 때문에 떡으로 만들어 먹는 것이 대중적입니다. 또한, 전통적으로 염증 제거, 해독, 배변 및 이뇨 작용 등 다양한 효능을 지닌 약재로 인식되어 왔으나, 현대적인 임상 연구를 통해 과학적으로 입증될 필요가 있습니다. 약재의 사용은 반드시 전문가의 진단과 처방에 따라 이루어져야 합니다.

 

 

 

728x90
728x90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