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주명리/명리학

명리학 천간, ‘무(戊)’

by Supuro 2025. 4. 11.
728x90
728x90

명리학에서 천간(天干) 중 다섯 번째 글자인 무()는 양토(陽土)에 해당하며, 넓고 웅장한 산이나 대지와 같은 굳건하고 신뢰감을 주는 에너지를 상징합니다. 갑목(甲木)과 을목(乙木)의 성장, 병화(丙火)와 정화(丁火)의 발산을 안정적으로 수용하고 지탱하는 역할을 합니다.

 

 

 

 

기본적인 상징:

 

  • 넓고 높은 산, 대지 (高山, 廣野): 묵직하고 변함없는 산이나 넓은 대지처럼 굳건하고 안정적인 이미지를 가집니다. 이는 신뢰감, 듬직함, 포용력, 책임감, 보수적인 성향을 나타냅니다.
  • 중심과 안정: 오행의 중심인 토(土) 중에서도 양토로서, 균형을 잡고 안정감을 주는 역할을 합니다.
  • 무거움과 묵직함: 쉽게 움직이지 않고 묵직한 존재감을 드러냅니다.

 

 

성격 및 기질:

  • 신뢰감 있고 듬직함: 주변 사람들에게 믿음을 주고 의지할 수 있는 듬직한 성격을 지닙니다.
  • 포용력이 넓고 이해심이 많음: 넓은 마음으로 타인을 이해하고 포용하는 능력이 뛰어납니다.
  • 책임감이 강하고 성실함: 맡은 일에 대한 책임감이 투철하며, 꾸준하고 성실하게 임합니다.
  • 보수적이고 안정 지향적: 변화보다는 안정적인 것을 선호하며, 신중하게 행동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인내심이 강하고 끈기 있음: 쉽게 흔들리지 않고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어가는 인내심과 끈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 과묵하고 진중함: 가볍게 말하거나 행동하기보다는 신중하게 생각하고 진중한 태도를 보입니다.
  • 고집이 세고 융통성이 부족할 수 있음: 자신의 생각을 잘 굽히지 않고 고집스러운 면모를 보일 수 있으며, 때로는 융통성이 부족하다는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 느리고 답답하게 보일 수 있음: 신중하고 안정적인 것을 추구하다 보니 행동이 느리거나 답답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 현실적이고 실리적: 이상보다는 현실적인 상황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실리를 추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게으른 면모를 보일 수 있음: 안정적인 것을 좋아하다 보니 때로는 움직이는 것을 귀찮아하거나 게으른 모습을 보일 수 있습니다.

 

 

직업적 성향:

  • 안정적인 직업: 공무원, 공기업, 은행원 등
  • 부동산, 건설 관련 직업: 건축가, 토목 기술자, 부동산 중개인 등 (땅과 관련된 분야)
  • 교육, 상담 관련 직업: 교사, 상담가 (묵직함과 신뢰감)
  • 관리, 경영 관련 직업: 조직 관리, 경영 (안정적인 기반)

 

 

건강:

  • 위장, 비장 등 소화기 계통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
  • 운동 부족이나 과식으로 인해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무 일간의 특징 (태어난 날의 천간이 인 경우):

일간이 무(戊)인 경우

 

  • 태어난 날의 천간이 무인 사람은 이러한 무토의 특징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 묵직하고 믿음직한 인상을 강하게 줍니다.
  • 주변 사람들에게 안정감을 주는 존재입니다.
  • 자신의 자리를 굳건히 지키려는 성향이 강합니다.
  • 인내심과 끈기로 어려움을 극복하는 힘이 있습니다.

 

 

주의할 점:

  • 지나친 고집은 주변과의 소통을 어렵게 만들 수 있으므로 유연성을 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 행동이 너무 느리거나 답답하게 보일 수 있으므로 때로는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합니다.
  • 게으른 면모를 극복하고 꾸준히 노력하는 자세가 중요합니다.

 

 

천간 무()는 넓고 웅장한 산이나 대지처럼 굳건하고 신뢰감을 주는 성격을 지닌 글자입니다. 듬직함과 포용력을 바탕으로 주변에 안정감을 주지만, 지나친 보수성과 고집은 주의해야 합니다.

 

 

 

 

 

728x90
728x90
SMALL

'사주명리 > 명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리학 천간, ‘경(庚)’  (4) 2025.04.11
명리학 천간, ‘기(己)’  (2) 2025.04.11
명리학 천간, ‘정(丁)’  (0) 2025.04.11
명리학 천간, ‘병(丙)’  (0) 2025.04.11
명리학 천간, ‘을(乙)’  (2) 2025.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