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신당 창당을 공식화한 이후, 뉴욕 증시에서 테슬라 주가가 폭락하며 시가총액 1조 달러 선이 무너졌습니다. 머스크의 정치 행보, 세액 공제 혜택 소멸, 규제 크레딧 수익 감소 등 복합적인 악재가 작용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머스크의 정치적 외도: '아메리카당' 창당 선언과 시장의 우려
지난 7월 5일, 일론 머스크는 자신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 X(옛 트위터)를 통해 '아메리카당(America Party)' 창당을 공식 선언했습니다. 그는 "낭비와 부패로 국가를 파산시키는 일에 대해 말하자면 우리는 민주주의가 아닌 '일당제' 속에 살고 있다"며 기존 공화당과 민주당 양당 체제에 대한 강한 불만을 표출했습니다.
머스크는 독립기념일이었던 7월 4일, 신당 창당에 대한 온라인 투표를 진행하며 찬반 비율이 2대 1로 찬성이 우세했음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그의 구상은 2026년 중간선거에서 상원 2~3석, 하원 8~10석 정도를 확보하여 현재 공화당과 민주당의 팽팽한 의석수 균형 속에서 '캐스팅보트' 역할을 하겠다는 것입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하는 감세 법안 등 특정 정책에 대한 견제 역할을 하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머스크의 정치적 행보는 테슬라 투자자들에게는 큰 불안감을 안겨주었습니다. 7월 7일(현지시각) 뉴욕증권거래소에서 테슬라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6.79% 급락한 293.94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단 하루 만에 테슬라 시가총액이 680억 달러(한화 약 93조 6천억 원) 증발하며 9,467억 달러로 1조 달러 선이 붕괴된 결과로 이어졌습니다. 월가의 유명 증권사 웨드부시의 분석가 댄 아이브스는 "머스크가 정치에 더 깊이 뛰어드는 것은 테슬라 투자자·주주들이 원하는 방향과 정확히 반대 방향"이라고 지적하며, 이는 테슬라에 대한 투자자들의 '피로감'을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분석했습니다.
실제로 지난 3월 진행된 한 조사에 따르면, 테슬라 투자자의 85%가 머스크의 정치 활동이 회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한 바 있어, 이번 사태는 이미 예견된 투자자들의 우려가 표출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머스크는 지난 5월 본업에 집중하겠다고 밝히기도 했으나, 이번 신당 창당 선언으로 다시 정치적 리스크가 부각된 상황입니다.
복합적인 악재: 세액 공제 소멸과 규제 크레딧 수익 감소
머스크의 정치적 행보 외에도 테슬라 주가 급락에는 몇 가지 중요한 악재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습니다.
- 7,500달러 전기차 세액 공제 혜택 소멸: 오는 9월 30일에 만료되는 미국 연방 정부의 전기차 구매 시 7,500달러 세액 공제 혜택이 사라지는 것이 테슬라 판매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가 컸습니다. 그렇지 않아도 테슬라의 전 분기 차량 인도량은 전년 대비 14%가량 급락했었기 때문에, 이러한 세액 공제 혜택의 소멸은 판매 감소를 더욱 심화시킬 전망입니다.
- 규제 크레딧 판매 수익 감소 위협: 그동안 테슬라의 주요 수입원 중 하나였던 '규제 크레딧' 판매 수익이 감소할 수 있다는 점도 악재로 작용했습니다. 규제 크레딧은 환경 오염을 줄이는 데 기여한 기업(전기차 생산 기업 등)에 정부가 제공하는 인센티브로, 테슬라는 이를 충족하지 못한 다른 내연기관 자동차 기업에 판매하여 상당한 수익을 창출해왔습니다. 2024년에만 규제 크레딧 판매로 28억 달러(한화 약 3조 8천억 원)의 매출을 올렸을 정도로 중요한 수익원이었습니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의 대규모 감세안 추진과 환경 규제 완화 기조는 이러한 규제 크레딧의 가치를 하락시키고, 결과적으로 테슬라의 중요한 부수입원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이러한 복합적인 악재가 겹치면서 테슬라 주가는 큰 폭으로 하락했으며, 이는 리비안(-2.45%), 루시드(-2.31%) 등 다른 전기차 기업들의 주가도 동반 하락시키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일론 머스크의 예측 불가능한 행보와 전기차 시장의 변화 속에서 테슬라가 현재의 위기를 어떻게 극복해 나갈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투자자들의 우려는 계속될 것으로 보이며, 앞으로의 정책 변화와 시장 상황에 따라 테슬라 주가의 변동성은 더욱 커질 수 있습니다.
'부동산과 경제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기회의 땅, 텍사스를 잡아라! 한국 기업의 미국 성공 진출 전략 세미나 성황리 개최 (48) | 2025.07.10 |
---|---|
💰 민생회복 소비쿠폰, 네이버페이·카카오페이로 받는다! (53) | 2025.07.09 |
미중 무역 전쟁, 한국에 불똥 튀나? 트럼프의 '양날의 칼'과 한국의 통상 전략 (53) | 2025.07.07 |
🌎 트럼프 관세 유예 종료 임박! 100개국 최저 관세율 10% 적용될까? (62) | 2025.07.06 |
🔥 미국 증시, 베트남 무역 합의 소식에 S&P500·나스닥 또 '사상 최고' 경신! (47) | 2025.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