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삶/산야초

바닷가에서 찾은 초록 보물, “번행초” 이야기

Supuro 2025. 6. 26. 08:00
728x90
728x90

번행초(Tetragonia tetragonioides)는 번행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동남아시아와 남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합니다. 뉴질랜드 시금치(New Zealand Spinach)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졌으며, 해안가 모래땅에서 자라는 강한 생명력을 지녔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식용 나물이자 다양한 질병을 다스리는 약초로 활용되어 왔습니다.

 

 

번행초 - 국립생물자원관

 

 

식물 전체에 털이 없고 다육질이며, 빽빽하게 낱알 모양의 돌기가 있습니다. 줄기는 누워 자라거나 덩굴지며 가지가 갈라지고 길이는 40~80cm 정도입니다. 잎은 어긋나며 두껍고 잎자루는 1~2cm 정도입니다. 잎몸은 달걀 모양의 삼각형 또는 난형으로 길이 4~6cm, 폭 3~5cm 정도로 가장자리는 밋밋합니다. 

 

 

번행초 - 국립생물자원관

 

 

꽃은 4~11월에 노란색으로 피는데, 꽃자루가 매우 짧고, 잎겨드랑이에 1~2개씩 달립니다. 꽃받침통은 길이 3~4mm 정도이지만, 열매가 익을 때는 6~7mm 정도로 자라며, 가시 모양의 큰 돌기가 4~5개 있습니다. 꽃받침통은 4~5갈래로 얕게 갈라지는데 겉은 녹색이고, 안쪽은 노란색입니다. 꽃잎은 없고, 수술은 노란색이며 9~16개이며, 암술대는 4~6개입니다. 열매는 견과로 벌어지지 않고 윗부분에 가시 같은 돌기가 있습니다.

 

 

번행초 - 국립생물자원관

 

 

주요 효능

전통 의학 서적과 현대 과학 연구를 통해 밝혀진 번행초의 주요 효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전통 의학 문헌 속 효능

여러 고문헌과 민간요법에서 번행초는 특히 위장 질환에 탁월한 약재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해열, 해독, 소종 (열을 내리고 독을 풀며 종기를 가라앉힘)

  •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과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에 따르면 번행초는 성질이 평하고, 열을 내리며 독성을 제거하고 부기를 가라앉히는 효능(해열해독, 소종)이 있다고 기록합니다.
  • 장염, 패혈증, 종기, 풍열로 인한 눈의 충혈 등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위장 보호 및 치료

  • 번행초는 민간에서 위암 3대 약초 중 하나로 꼽힐 만큼 위장 질환에 명약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잎과 줄기에서 나오는 점액질 성분이 위염, 위궤양 등으로 손상된 위벽을 부드럽게 감싸 보호하고 통증과 염증을 완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 소화불량이나 숙취로 인한 메스꺼움에도 효과가 있어, 오랫동안 차로 달여 마시면 만성 위장병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전해집니다.

 

기력 회복 및 부인병

  • 병을 앓고 난 환자나 출산 후의 여성이 미역국처럼 끓여 먹으면 기력 회복에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자궁의 염증이나 냉대하 등 부인병에도 사용되었습니다.

 

2. 현대 과학 연구로 밝혀진 효능

현대 과학은 번행초에 함유된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분석하여 전통적인 효능을 과학적으로 입증하고 있습니다.

 

강력한 항산화 및 항염 효과

  • 번행초에는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비타민 E 등 항산화 물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는 세포 손상을 유발하는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노화를 방지하고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등)

 

위 보호 및 항궤양 효과

  • 동물실험 연구에서 번행초 추출물이 위 점막을 보호하고 위산 과다 분비를 억제하여 위궤양 개선에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습니다. 이는 전통적으로 위장병에 사용된 근거를 뒷받침합니다.

 

항균 및 항암 활성

  • 여러 연구에서 번행초 추출물이 식중독을 유발하는 균을 포함한 다양한 병원균에 대해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 민간에서 위암, 간암 등에 사용해 온 것을 바탕으로 진행된 연구에서, 번행초 추출물이 특정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항종양 활성을 보인다는 결과가 있습니다.

 

대사질환 개선 효과

  •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동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번행초 추출물이 체중 증가와 체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항비만 효과를 보였습니다.
  • 혈중 요산 수치를 낮추어 통풍(gout)을 유발하는 고뇨산혈증 개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Tetragonia tetragonoides (Pall.) Kuntze (New Zealand Spinach) Prevents Obesity and Hyperuricemia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2018)

 

번행초는 전통적으로 위장을 편안하게 하고 염증을 다스리는 데 널리 사용되어 온 약초이며, 현대 과학 연구를 통해 항산화, 항염, 항균, 항암 및 대사질환 개선 등 다양한 효능이 속속 밝혀지고 있습니다. 이처럼 번행초는 단순한 나물을 넘어, 우리 건강에 이로움을 주는 훌륭한 약용 식물 자원이라 할 수 있습니다.

 

 

먹는 방법

번행초(뉴질랜드 시금치, 갯시금치라고도 불림)는 다양한 방법으로 섭취할 수 있는 영양가 있는 식물입니다. 시금치와 비슷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위장 건강에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광고] 건강에 좋은 번행초 이용 방법

 

번행초 섭취 방법:

  • 나물로 무쳐 먹기: 가장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끓는 물에 소금을 약간 넣고 살짝 데친 후 찬물에 여러 번 헹궈 물기를 꼭 짜서 국간장, 들기름, 깨소금 등 원하는 양념에 무쳐 먹습니다. 아삭한 식감이 특징입니다.
  • 샐러드: 어린 순은 생으로 샐러드에 넣어 먹을 수도 있습니다. 마요네즈에 찍어 먹는 것도 좋습니다. 다만, 예민한 체질이거나 결석 증상이 있는 경우 날로 먹는 것보다는 데쳐서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번행초에는 옥살산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끓는 물에 1분 정도 데치는 것이 좋습니다.
  • 볶음 요리 및 잡채: 시금치처럼 볶음 요리나 잡채에 활용해도 좋습니다.
  • 국: 된장국에 넣어 끓여 먹거나 다른 국 요리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 튀김: 튀김으로 만들어 먹어도 별미입니다.
  • 면 요리: 즙을 내어 밀가루 반죽에 넣어 면을 만들거나 수제비, 칼국수 등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김치, 장아찌: 김치나 장아찌를 담가 먹을 수도 있습니다.
  • 차 또는 효소: 말리거나 덖어서 차로 우려 마시거나 효소를 담가 마실 수도 있습니다. 만성 위장병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녹즙: 생즙을 내어 마시기도 하지만, 위에서 언급했듯이 옥살산 성분 때문에 데쳐서 섭취하는 것이 더 권장됩니다.

 

 

섭취 시 주의사항:

  • 데쳐서 섭취: 번행초에는 옥살산이 함유되어 있어 생으로 많은 양을 섭취할 경우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특히 예민한 체질이거나 결석 증상이 있는 경우 반드시 끓는 물에 살짝 데쳐 찬물에 우려낸 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 어린 순 위주: 자랄수록 독성분이 강해질 수 있으므로 어린 순을 채취하여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 체질 확인: 개인의 체질이나 건강 상태에 따라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처음 섭취할 때는 소량부터 시작하고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섭취를 중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번행초는 철, 칼슘, 비타민A, 카로틴 등 다양한 영양소가 풍부하며, 특히 위염, 위궤양 등 위장 질환에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다양한 방법으로 맛있게 번행초를 즐겨보세요!

 

 

 

728x90
728x90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