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삶/산야초

‘Tree of Heaven’이라 부르는 “가죽나무”

Supuro 2025. 5. 17. 13:00
728x90
728x90

가죽나무(Ailanthus altissima)는 소태나무과의 낙엽활엽교목으로 가중나무라고도 합니다. 원산지는 중국이지만,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유럽 등지에 분포하며, 도심지나 척박한 땅에서도 잘 크는 튼튼한 교목으로 매끄러운 회갈색 껍질을 가집니다. 어린잎 순을 먹을 수 있는 참죽나무와 구분하기 위해 가짜 죽나무라는 뜻으로 가죽나무가 되었다는 설이 있으나, 참죽나무를 가죽나무라 부르는 지방이 있어 이 설을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가죽나무 순 - 국립생물자원관

 

 

한자어로 가승목(假僧木), 저수(樗樹), 산춘수(山椿樹)라고 하며, 영어로 ‘Tree of Heaven’이라 부르는데, 이는 이 식물을 미국에 판매하던 회사가 의도적으로 붙인 상품명으로 미국인들은 이 나무의 이름이라고 생각하게 된 것입니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으로 높이 20~25m, 지름 50cm 정도로 자라며, 줄기는 밋밋하고 성장이 빠릅니다. 잎은 기수우상복엽으로 크기는 60~80cm 정도이며, 작은 잎은 13~25개의 넓은 피침상 난형(披針狀 卵形)으로 길이 7~13cm, 넓이 5cm 정도입니다. 작은 잎 아래쪽에는 톱니가 3~4개 있으며, 표면은 진한 녹색,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 털이 없습니다. 꽃은 초록빛이 도는 흰색으로 6월에 피며, 지름은 7~8mm 정도입니다. 열매는 적갈색으로 길이 3~4cm, 넓이 1cm 정도의 피침형이며 9월에 성숙하고 봄까지 달립니다.

 

 

가죽나무 - 국립생물자원관

 

 

가죽나무는 독이 있고 냄새가 심해 극히 일부 지방에서 향토 요리로 이용합니다. 경상북도 일부 지역에서는 가죽나무 순을 양념에 버무려 먹기도 하며, 삶고 데치고를 반복해 독을 빼기도 하지만, 향이 날아간다고 해서 그냥 조금만 먹는다는 생각으로 생으로 먹기도 합니다. 가죽나무 특유의 향은 호불호가 매우 심하여 개인의 취향이라고 할 것입니다.

 

 

주요 효능

가죽나무는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전통의학에서 귀하게 사용되어 온 약재 중 하나로, 특히 그 뿌리껍질과 줄기껍질은 저근백피(樗根白皮) 또는 춘피(椿皮)라 불리며 다양한 질환 치료에 활용되었습니다. 여러 한의학 문헌에 그 효능이 기록되어 있으며, 주로 열을 내리고 습()을 제거하며 출혈을 멎게 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동의보감(東醫寶鑑)을 비롯한 여러 전통의학 서적에 따르면, 가죽나무 껍질은 다음과 같은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 지사(止瀉) 및 지혈(止血): 설사나 이질, 만성적인 설사, 장출혈로 인한 혈변 등을 멎게 하는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여성의 자궁출혈이나 대하(냉대하증) 등 각종 출혈성 질환에도 사용되었습니다. 이는 가죽나무 껍질에 포함된 타닌 성분의 수렴 작용과 관련이 깊습니다.
  • 청열조습(淸熱燥濕): 몸 안의 불필요한 열과 습기를 제거하는 효능이 있어 습열(濕熱)로 인한 설사, 이질, 대하 등에 적용되었습니다. 성질이 서늘하여 열증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았습니다.
  • 살충(殺蟲) 및 구충(驅蟲): 전통적으로 체내 기생충 구제에도 사용되었습니다. 특히 회충을 제거하고 기생충으로 인한 복통이나 설사를 다스리는 데 활용되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 소염(消炎): 염증을 가라앉히는 효능이 있어 장염이나 종기 등 각종 염증성 질환에도 사용된 것으로 나타납니다.
  • 부인병 치료: 특히 여성 질환에 다양하게 사용되었는데, 앞서 언급된 대하, 자궁출혈 외에도 생리 과다, 산후 출혈이 멎지 않는 증상 등에 효험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 기타 효능: 소변이 시원치 않거나 붉고 잦은 증상, 몽정, 유정(정액이 저절로 흐르는 증상), 어린이의 감적(영양실조와 기생충 감염으로 인한 복부 팽만 등) 등에도 활용된 기록이 문헌에서 확인됩니다. 또한, 외용약으로는 옴, 버짐, 창선(瘡癬) 등 피부 질환이나 치질, 타박상, 골절 부위의 통증 및 부종을 가라앉히는 데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사용 부위는 주로 뿌리껍질줄기껍질이며, 이를 말려 가루 내거나 달임약 형태로 복용하거나 외용하였습니다. 다만, 전통의학 문헌에 기록된 효능은 현대 과학적인 연구를 통해 임상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내용이 있을 수 있으며, 사용 시 전문가의 정확한 진단과 처방에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가죽나무는 일부 유독 성분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으므로 과다 복용에 주의해야 한다는 기록도 함께 전해집니다.

 

 

먹는 방법

가죽나무를 섭취하는 방법은 크게 약용 목적과 식용 목적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기 사용하는 부위와 조리법에 차이가 있습니다. 특히 식용과 관련하여서는 참죽나무(Cedrela sinensis)와 혼동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광고] 건강에 좋은 기죽나무 이용 방법

 

1. 약용 목적(주로 껍질 사용):

가죽나무의 뿌리껍질과 줄기껍질은 한의학에서 저근백피(樗根白皮) 또는 춘피(椿皮)라는 약재로 사용됩니다. 약용할 때는 보통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섭취하거나 활용합니다.

  • 탕약(달임약): 가장 일반적인 복용법으로, 잘 말린 껍질을 물에 넣고 달여서 그 물을 마십니다. 문헌에 따라 하루 권장량(보통 6~12g)을 명시하고 있으며, 특정 질환에 따라 다른 약재와 함께 처방될 수 있습니다.
  • 산제(가루약): 껍질을 곱게 갈아 가루 형태로 만들어 복용하기도 합니다.
  • 외용제: 달인 물로 환부를 씻거나, 가루를 기초제에 개어 피부 질환 부위에 바르는 등 외용으로 활용되기도 했습니다.

주의사항: 가죽나무 껍질은 수렴 및 지혈작용이 강하므로 변비가 있는 경우 복용에 주의해야 하며, 과량 복용 시 심한 복통, 설사, 구토, 두통 등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반드시 전문가(한의사 등)의 진단과 처방에 따라 정해진 용량과 방법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2. 식용 목적(어린잎 사용 - 주로 참죽나무):

일반적으로 봄철에 나물로 먹는 '가죽나물'은 실제로는 가죽나무가 아닌 참죽나무(Cedrela sinensis)의 어린잎을 가리키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가죽나무 잎은 특유의 고약한 냄새와 쓴맛, 떫은맛 때문에 식용으로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반면 참죽나무 잎은 향긋한 독특한 풍미가 있어 예로부터 식용으로 즐겨왔습니다.

 

참죽나무 어린잎(가죽나물)은 다양한 방법으로 조리하여 섭취합니다.

  • 데쳐서 나물로 무쳐 먹기: 끓는 물에 소금을 약간 넣고 살짝 데쳐 찬물에 헹군 후 물기를 꼭 짜서 된장, 고추장, 간장 등 각종 양념에 무쳐 먹습니다.
  • 장아찌: 살짝 데치거나 소금물에 절인 후 간장, 식초, 설탕 등으로 만든 장아찌 양념에 담가 숙성시켜 먹습니다.
  • 부각: 찹쌀풀 등을 발라 말린 후 기름에 튀겨 바삭하게 먹습니다.
  • 전: 데친 잎을 잘게 썰어 밀가루나 부침가루 반죽에 섞어 전으로 부쳐 먹기도 합니다.
  • 튀김, 밥: 튀김옷을 입혀 튀기거나 밥에 넣어 먹기도 합니다.

 

 

가죽나무와 참죽나무 구별:

식용으로 가죽나물을 채취할 때는 반드시 참죽나무인지 가죽나무인지 정확히 구별해야 합니다. 두 나무는 잎 모양이 비슷하여 혼동하기 쉽지만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습니다.

  • 잎 가장자리의 선점(샘점): 가죽나무 잎의 작은 잎 밑부분 가장자리에는 좁쌀만 한 점(선점)이 1~2개 있습니다. 참죽나무에는 이러한 선점이 없습니다.
  • 잎의 개수: 가죽나무의 깃꼴겹잎은 작은 잎의 수가 홀수(보통 13~25개)인 반면, 참죽나무는 짝수(보통 10~20개)인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예외도 있을 수 있어 선점 확인이 더 확실합니다.)
  • 냄새: 가죽나무 잎은 불쾌한 냄새가 나지만, 참죽나무 잎은 향긋한 냄새가 납니다.

 

 

결론적으로, 가죽나무의 약효를 위해 껍질을 사용하려면 전통적인 방법(탕약, 산제, 외용)에 따르되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해야 합니다. 식용으로 섭취하는 '가죽나물'은 대부분 참죽나무의 어린잎이며, 다양한 봄나물 조리법으로 맛있게 즐길 수 있습니다. 식용 목적의 채취 시에는 유독성 가능성이 있는 가죽나무 잎을 잘못 섭취하지 않도록 참죽나무를 정확히 구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728x90
728x90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