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삶/산야초

카카오를 대체한 초콜릿 ‘우엉’

Supuro 2025. 4. 26. 12:18
728x90
728x90

우엉(Burdock root)은 국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로 유럽, 중국 북동부, 시베리아 등에 분포하며, 병이 거의 없고 내한성이 매우 강하며 토질을 별로 가리지 않아 현재는 세계 각지에서 재배합니다.
 
 

우엉 - 위키백과

 
 
우엉에 함유된 이눌린은 수분을 흡수하고 신장 기능을 높여주는 이뇨작용을 하는 성분으로 유럽에서는 이뇨제, 발한제로 사용하고, 인후통과 독충의 해독제로 사용하는 등 약으로 사용하면서 골치 아픈 잡초 취급을 하였으나, 중국에서는 보이차 특유의 향과 잘 어울리는 우엉을 블렌딩해서 마시거나, 말린 우엉을 차처럼 우려 마십니다. 우리나라는 2014년 후반 즈음해서 우엉차가 각광 받고 있는데, 우엉을 썰어서 말린 다음 여러 차례 덖어서 차로 우려 마시는 방식이라 중국과는 약간 차이가 있습니다.
 
우엉은 김밥의 재료로 사용되기도 하며, 닭고기 볶음이나 닭도리탕에서 닭의 누린내를 잘 억누르고 닭에서 나온 기름이 우엉의 고소한 맛을 더하기도 합니다. 일본에서는 밥을 지을 때 고기나 야채 등을 넣고 짓기도 하는데, 우엉을 썰어 넣고 지은 우엉밥도 있습니다.
 
 

우엉의 열매 - 위키백과

 
 
일본의 한 기업은 우엉으로 카카오를 대체한 대체 초콜릿을 개발하였습니다. 원래 우엉차를 만드는 기업이었는데, 차로 만들기 위해 볶은 우엉에서 발생하는 향기 성분이 초콜릿의 향기 성분 10가지 중 8가지와 겹친다는 것을 발견하고 개발하게 된 것입니다. 지구 온난화가 카카오 재배에 영향을 끼치면서 카카오 가격이 오르고 있기에 크게 주목받기도 합니다.
 
키는 50~150cm 정도로 자라고, 땅속에서 곧은뿌리는 30~60cm로 자랍니다. 잎은 밑에서 무더기로 나오고, 원줄기에서는 어긋나고 심장형이며, 표면은 짙은 녹색이지만 뒷면에 솜 같은 흰털이 밀생합니다. 꽃은 7월에 피는데 검은 자줏빛이 돌며, 가지 끝에 산방꽃차례로 달립니다. 총포는 둥글고 포는 침형이며 끝이 갈고리처럼 생겼습니다.
 
 

주요 약효

우엉은 예로부터 식용뿐만 아니라 약용으로도 가치가 높게 평가되어 다양한 의학 문헌에 그 효능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특히 한국과 중국의 주요 전통 의학 서적에서 우엉의 뿌리(우방근, 牛蒡根)와 씨앗(우방자, 牛蒡子)의 약효를 상세히 언급하고 있습니다.
 

  • 해독 및 사기(邪氣) 제거: 『동의보감』과 『본초강목』 등 여러 문헌에서 우엉이 몸의 나쁜 기운(邪氣)을 제거하고 독을 푸는 효능이 있다고 강조합니다. 특히 『본초강목』에는 "오장(五臟)의 나쁜 사기를 제거한다."라고 기록되어 있어 내부 장기의 독소 제거에도 효과가 있음을 시사합니다. 종기나 부스럼 등 각종 옹종(癰腫) 치료에도 활용되었습니다.
  • 풍열(風熱) 해소: 우엉은 성질이 서늘하여 풍열(감기, 독감 등으로 인한 발열, 두통, 목 통증 등)을 흩어지게 하는 효능이 있습니다. 인후통, 기침, 가래를 동반한 감기 증상 완화에 사용되었습니다.
  • 소염(消炎) 작용: 염증을 가라앉히는 효능이 있어 목이 붓고 아픈 증상이나 피부의 염증성 질환 치료에 사용 기록이 있습니다.
  • 대소변 소통: 우엉의 씨앗인 우방자는 대소변을 잘 통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변비 해소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 하복부 통증 완화: 『본초강목』에는 하복부 내장의 통증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 중풍 및 각기 치료: 일부 문헌에서는 중풍(뇌졸중 등)과 각기(영양 결핍으로 인한 다리 부종 및 통증) 치료에도 우엉이 사용되었다는 기록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 피부 질환 개선: 머리에 나는 종기 치료를 비롯하여 다양한 피부 문제에 우엉이 활용되었습니다. 우엉의 해독 및 소염 작용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 이 외에도 우엉은 신체의 허약함을 치료하고 기운을 보하는 효능에 대해서도 일부 언급이 있습니다.

 
현대 과학적인 연구를 통해 우엉에 포함된 이눌린, 사포닌, 리그닌, 탄닌 등의 성분들이 전통적으로 알려진 효능들을 뒷받침하는 다양한 생리 활성 작용(항산화, 항염, 혈당 조절, 면역 증진 등)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습니다.
 
 

먹는 방법

우엉은 아삭한 식감과 독특한 향, 그리고 풍부한 영양으로 한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사랑받는 식재료이자 약재입니다. 우엉은 뿌리채소로 다양한 조리법으로 즐길 수 있으며, 전통적으로는 약용으로도 활용되었습니다.

건강에 좋은 우엉(우엉차) 이용 방법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식용으로 즐기기:

  • 우엉조림: 우엉을 가늘게 채 썰어 간장, 설탕, 물엿 등을 넣고 졸여 만드는 가장 대표적인 밑반찬입니다. 도시락 반찬이나 김밥 재료로 빠지지 않고 사용됩니다.
  • 우엉볶음: 채 썬 우엉을 기름에 볶아 간단하게 즐길 수 있습니다. 들깨가루 등을 넣어 고소함을 더하기도 합니다.
  • 우엉튀김: 우엉을 어슷하게 썰거나 채 썰어 튀김옷을 입혀 튀겨내면 바삭하고 고소한 별미가 됩니다.
  • 샐러드: 어린 우엉순이나 신선한 우엉 뿌리를 얇게 채 썰어 샐러드에 넣어 아삭한 식감을 더하고 영양을 보충할 수 있습니다. 우엉 특유의 쓴맛은 찬물에 담가두면 줄어듭니다.
  • 김밥 재료: 우엉조림은 김밥의 핵심 재료 중 하나로, 풍미와 식감을 더해줍니다.
  • 밥: 밥을 지을 때 얇게 썬 우엉을 함께 넣어 우엉밥으로 즐기기도 합니다.
  • 장아찌: 우엉을 이용해 장아찌를 담가 밑반찬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우엉 손질 및 전처리: 우엉은 껍질 가까이에 영양분이 풍부하므로 껍질을 칼등으로 긁어내거나 수세미로 살살 문질러 벗겨내는 것이 좋습니다. 손질한 우엉은 갈변을 막고 쓴맛과 아린 맛을 제거하기 위해 식초물이나 쌀뜨물에 잠시 담가두면 좋습니다.

 

약용으로 활용하기:

  • 우엉의 뿌리(우방근)와 씨앗(우방자)은 전통적으로 약재로 사용되었습니다. 약용 목적의 섭취는 반드시 전문가의 지시에 따라야 합니다.
  • 탕약: 한의사의 처방에 따라 다른 약재와 함께 달여서 탕약으로 복용합니다. 해독, 소염, 풍열 제거 등 특정 질환 치료를 위해 활용됩니다.
  • 우엉차: 우엉 뿌리를 얇게 썰어 말린 후 덖아서 뜨거운 물에 우려내 차로 마십니다. 식수처럼 꾸준히 마시면 혈액 순환, 노폐물 배출, 혈당 조절 등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외용제: 전통적으로는 종기나 피부 염증 등에 찧거나 가루 낸 우엉을 외용제로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기타 활용:

  • 우엉 베개 속: 말린 우엉을 베개 속에 넣어두면 머리를 맑게 하고 두통 완화에 도움이 된다는 민간의 활용법도 있습니다.

 
 

섭취 시 주의사항:

우엉은 성질이 다소 차므로 몸이 차거나 소화 기능이 약한 사람, 설사가 잦은 사람은 과다 섭취에 주의해야 하며, 개인의 체질과 건강 상태에 따라 다르게 작용할 수 있으므로, 특히 약용 목적으로 복용 시에는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해야 합니다.
 
우엉은 다양한 방법으로 맛있고 건강하게 즐길 수 있는 식재료입니다. 올바른 손질 및 조리법을 통해 우엉의 풍부한 효능을 누리시길 바랍니다.
 
 
 

728x90
728x90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