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명리/명리학 격언

신왕재왕, 부명불의(身旺財旺 富命不易): 부자 사주의 이상과 현실

Supuro 2025. 7. 3. 08:00
728x90
728x90

명리학 격언신왕재왕(身旺財旺), 부명불의(富命不易)는 부자가 되기 위한 이상적인 사주 구성을 설명하는 동시에, 그러한 사주를 가진 사람이 많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각 한자의 의미

 

身旺(신왕):

  • '신(身)'은 일간(日干)을 의미하며, '왕(旺)'은 왕성하다, 강하다는 뜻입니다. 즉, 일간의 힘이 강하다는 것을 말합니다. 사주 원국 내에 일간을 돕는 비겁(比劫: 비견, 겁재)이나 인성(印星: 정인, 편인)이 많아 일간이 약하지 않고 튼튼함을 의미합니다.

 

財旺(재왕):

  • '재(財)'는 재물, 재성을 의미하며, '왕(旺)'은 왕성하다는 뜻입니다. 즉, 재성(財星)의 힘이 강하다는 것을 말합니다. 사주 원국 내에 재성(정재, 편재)이 많거나 강하게 뿌리를 내리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富命(부명):

  • '부(富)'는 부자, '명(命)'은 명조, 운명을 의미합니다. 즉, 부자의 팔자를 말합니다.

 

不易(불이):

  • '불(不)'은 아니다, '이(易)'는 쉽다는 뜻입니다. 즉, 쉽지 않다, 드물다는 의미입니다.

 

 

격언의 의미 해석

종합하자면 신왕재왕(身旺財旺), 부명불의(富命不易)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집니다.

 

신왕(身旺):

  • 재물을 감당할 능력이 있다.
  • 일간이 강하다는 것은 그 사람의 주체성이 뚜렷하고, 추진력이 있으며, 건강하고 활동적임을 의미합니다. 재물을 담고 관리할 만한 그릇이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아무리 재물이 많아도 일간이 약하면 그 재물을 감당하지 못하고 오히려 재물 때문에 고통받거나 건강을 해칠 수 있습니다.

 

재왕(財旺):

  • 재물이 들어올 기회가 많고, 재물의 크기가 크다.
  • 사주에 재성이 강하게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은 재물과의 인연이 깊고, 재물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많으며, 들어오는 재물의 규모가 클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부명불의(富命不易):

  • 이러한 조건을 모두 갖춘 부자의 사주는 매우 드물다.
  • 신왕과 재왕이라는 두 가지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사주는 이상적이지만, 현실적으로는 매우 희귀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사주에는 여러 오행과 육친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므로, 일간의 강약을 적절히 유지하면서 동시에 재성도 강한 균형 잡힌 구조는 쉽게 나타나지 않습니다.

 

 

결론

"신왕재왕, 부명불의"는 명리학적으로 부자가 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사주 형태를 제시하며, 동시에 그러한 사주를 가진 사람이 극히 드물다는 현실을 반영하는 격언입니다.

 

이 말은 단순히 재물이 많다고 부자가 되는 것이 아니라, 그 재물을 자신의 힘으로 충분히 다스리고 활용할 수 있는 역량(신왕)이 뒷받침되어야 진정한 부(富)를 이룰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728x90
728x90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