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명리/신살

“원진살(怨嗔煞)”이 있어도 행복한 관계를 만드는 현실적인 조언

Supuro 2025. 6. 19. 21:00
728x90
728x90

원진살(怨嗔煞)은 '원망할 원(怨)', '성낼 진(嗔)'이라는 한자 그대로 서로 미워하고 원망하는 기운을 의미하는 신살(神殺)입니다. 주로 관계의 불화와 갈등을 나타내며, 특히 부부관계나 가까운 인간관계에서 그 작용을 크게 봅니다.

 

 

 

 

원진살의 특징과 의미

  • 관계의 불화: 원진살이 있으면 특정 관계에서 서로 이유 없이 미워하거나, 사소한 일에도 불평불만이 쌓여 갈등이 잦아집니다. '안 보면 보고 싶고, 보면 이 갈린다'는 표현처럼 애증(愛憎)이 교차하는 관계 양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 고독 및 외로움: 원진살은 일명 '고독살'로 불리기도 합니다. 배우자가 있더라도 마음 한편으로는 외로움을 느끼거나, 정서적으로 만족감을 얻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성격적 예민함: 원진살을 가진 사람은 정신적으로 예민하거나 신경질적인 성향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는 때로는 종교적 신심이나 예술적 재능으로 표출되기도 합니다.
  • 건강 문제: 특정 지지 조합의 원진살은 신체의 특정 부위에 지병이나 질환으로 나타날 수 있다고 보기도 합니다. (예: 년지 원진은 편두통, 견통 등)

 

 

원진살의 성립 조건

원진살(怨嗔煞)의 성립 조건은 기본적으로 십이지지(十二地支)의 특정 조합이 사주팔자 내에서 만났을 때입니다. 이 조합들이 서로 미워하고 원망하는 기운을 나타낸다고 봅니다.

 

원진살은 다음 6가지 지지 조합으로 이루어집니다.

  • 子未(자미) 원진: 쥐(子)와 양(未), 쥐는 양의 뿔을 싫어하고, 양은 쥐의 꼬리를 더럽다고 꺼려 함.
  • 丑午(축오) 원진: 소(丑)와 말(午), 소는 말이 밭 갈지 않는 것을 미워하고, 말은 소가 누워 자는 것을 못마땅해 함.
  • 寅酉(인유) 원진: 호랑이(寅)와 닭(酉), 호랑이는 닭의 짧은 부리를 싫어하고, 닭은 호랑이의 수염을 시기함.
  • 卯申(묘신) 원진: 토끼(卯)와 원숭이(申), 토끼는 원숭이의 굽은 등과 빨간 엉덩이를 싫어하고, 원숭이는 토끼의 빨간 눈을 미워함.
  • 辰亥(진해) 원진: 용(辰)과 돼지(亥), 용은 돼지의 검은 주둥이를 싫어하고, 돼지는 용이 여의주를 물고 있는 것을 미워함.
  • 巳戌(사술) 원진: 뱀(巳)과 개(戌), 뱀은 개 짖는 소리를 싫어하고, 개는 뱀 짖는 소리를 싫어함. (개는 뱀의 천적이라는 설도 있음)

 

 

원진살의 성립 위치 (사주팔자 내에서)

원진살은 사주팔자의 네 기둥(년주, 월주, 일주, 시주) 중 지지(地支)에 위 조합이 있을 때 성립됩니다. 그중에서도 특히 다음과 같은 위치에서 그 작용력을 크게 봅니다.

 

1. 일지(日支) 중심:

  • 원진살의 작용력을 가장 크게 보는 경우입니다. 자신의 일지(태어난 날의 지지)에 위 원진 조합 중 하나가 있을 때입니다. 이는 본인의 배우자 관계, 심리 상태, 내면의 갈등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봅니다.
  • 예: 일지가 子이고, 사주 내 다른 지지(년지, 월지, 시지)에 未가 있는 경우.

 

2. 궁합에서의 원진살 (두 사주 간의 관계):

두 사람의 궁합을 볼 때, 서로의 사주팔자에서 원진 조합이 있을 때 원진살이 있다고 판단합니다.

  • 띠 (년지) 궁합: 가장 흔히 언급되는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은 쥐띠(子)이고, 다른 한 사람은 양띠(未)일 때 자미 원진이 성립되어 궁합적으로 불리하다고 봅니다.
  • 일지(日支) 궁합: 배우자궁을 나타내는 일지에서 원진살이 성립될 때도 궁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봅니다. 이는 배우자 간의 애증, 불화 등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 다른 지지 간의 원진: 월지-일지, 일지-시지 등 다른 기둥의 지지들끼리 원진살이 성립해도 작용력이 있다고 보지만, 띠나 일지 간의 원진보다는 그 영향력이 약하다고 해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3. 대운(大運) 및 세운(歲運):

  • 자신의 사주 원국에 원진살이 없더라도, 일정 기간 동안 들어오는 대운(10년 주기)이나 세운(1년 주기)에서 원진살에 해당하는 지지가 들어올 때, 그 시기에 원진살의 기운이 활성화되어 관계나 심리적인 문제, 구설수 등이 발생할 수 있다고 봅니다.

 

 

원진살의 현대적 해석

현대 명리학에서는 원진살을 단순히 부정적인 흉살로만 보지 않습니다.

  • 종합적인 분석: 다른 신살과 마찬가지로 원진살 하나만으로 운명을 단정 짓는 것은 지양됩니다. 사주 전체의 구조, 오행의 조화, 길신 및 흉신의 유무, 대운과 세운의 흐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 방해 인자: 원진살을 '방해 인자'로 해석하는 시각도 있습니다. 즉, 관계가 원만하게 흘러가지 않도록 방해하는 힘이 있지만, 이를 극복하려는 노력을 통해 오히려 관계가 더욱 단단해지거나 개인의 성장을 이룰 수 있다는 관점입니다.
  • 내적 갈등 및 발전: 때로는 원진살의 예민함과 미워하는 기운이 내적인 갈등을 유발하지만, 이를 예술적 감각이나 깊은 통찰력으로 승화시키는 경우도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원진살은 관계의 복잡성과 애증의 감정을 나타내는 신살이며, 이를 이해하고 현명하게 대처하려는 노력이 중요합니다.

 

 

 

728x90
728x90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