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편의점, 세계로! GS25·CU 상반기 합산 수출액 1천만 달러 돌파
국내 편의점 업계를 이끄는 GS25와 CU가 올 상반기에만 합산 1천만 달러가 넘는 수출액을 기록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존재감을 확고히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라면 올해 연말에는 무난히 2천만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됩니다.
GS리테일, 수출액 561만 달러 돌파…30여 개국으로 확대!
GS25를 운영하는 GS리테일의 올해 1월부터 6월까지의 수출액은 무려 561만 달러(약 80억 원)를 돌파했습니다. 작년 한 해 수출액이 900만 달러였던 것을 감안하면, 올해 연말에는 1,300만 달러 달성이 무난할 것으로 보입니다.
GS리테일의 수출은 2017년 약 18만 달러에 불과했지만, 2018년 140만 달러, 2020년 340만 달러, 그리고 2022년에는 840만 달러로 가파른 성장세를 보여왔습니다. 2017년 40여 종에 불과했던 수출 품목은 지난해 기준 600여 종까지 대폭 확대되었습니다.
수출 대상국도 크게 늘었습니다. 해외 사업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는 베트남, 몽골, 인도네시아는 물론, 유럽, 북미, 중동, 아프리카, 아시아 등 30여 개국으로 뻗어나가고 있습니다. 미국 H마트와 같은 글로벌 유통사, 현지 로컬 시장, 그리고 한인 마켓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진출하고 있습니다.
특히, K-콘텐츠 열풍에 힘입어 넷플릭스 IP 제휴 상품이 큰 인기를 얻고 있으며, 채식주의자가 많은 서양권 국가에서는 고기 성분을 제외한 수출용 노미트(No meat) 라면 등이 높은 판매고를 올리고 있습니다.
GS리테일은 올해 5월 중국 상하이 'SIAL CHINA 2025'에 이어 태국 방콕 'THAIFEX 2025'에서도 독립 부스를 운영하며 적극적인 해외 마케팅에 나섰습니다. 이를 통해 32개국 83개 해외 파트너사와 수출 상담을 진행했고, 동남아시아, 유럽, 남미 등 9개국 파트너사와 연내 신규 수출 계약을 추가로 논의 중입니다.
BGF리테일(CU), 상반기 수출액 450만 달러…K-상품 선호도 '압도적'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 역시 올해 상반기 수출액이 450만 달러에 달하며 글로벌 성장을 이끌고 있습니다.
CU는 해외 진출 국가인 몽골, 말레이시아, 카자흐스탄에서 확고한 고정 인프라를 구축하며 수출액을 꾸준히 늘려왔습니다. 2019년 120만 달러였던 수출액은 2020년 370만 달러, 2021년 650만 달러로 크게 상승했으며, 2023년과 2024년에는 각각 800만 달러를 달성했습니다.
현재 20여 개국에 K-편의점의 위상을 알리고 있는 CU 해외 점포에서는 PB상품을 포함한 한국 상품의 비중이 전체 매출의 50%를 차지할 정도로 높은 선호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몽골에서는 get 커피 원두, '연세우유 크림빵' 시리즈, 한국식 짜장면, 핫도그 등이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말레이시아의 경우 매출 상위 1위부터 10위 상품 중 7개가 한국 관련 상품이며, 한국의 즉석조리 음식이 전체 매출의 30%를 넘어설 정도입니다. 카자흐스탄에서는 한국 상품 수가 530여 종에 달하며, 점포 매출의 약 65%가 한국 상품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의 '빼빼로데이' 문화까지 해외로 전파하며 지난해 빼빼로데이 기간 동안 몽골과 말레이시아에서 판매된 빼빼로는 약 9만 개에 달했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몽골 94%, 말레이시아 178% 증가한 수치로, K-푸드를 넘어 K-문화까지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일본 돈키호테 입점 등 글로벌 시장 확장 박차
GS25와 CU 양사는 최근 일본 최대 잡화점인 돈키호테에 전용 매대를 차리며 수출 영역을 더욱 넓히고 있습니다. 이는 일본 시장에서의 K-상품 수요를 공략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됩니다.
한편, 세븐일레븐 역시 2015년부터 하와이, 대만, 말레이시아 등에 국내 PB 및 특화 상품을 꾸준히 수출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누적 수출 횟수는 70여 회, 규모는 20여만 박스에 달합니다.
이처럼 국내 편의점들이 해외 시장에서 K-푸드와 K-컬처를 전파하며 성공적인 성과를 거두는 모습은 한국 브랜드의 글로벌 경쟁력을 다시 한번 입증하는 계기가 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K-편의점들이 전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으며 더욱 크게 성장하기를 기대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