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삶/산야초

훤칠한 키에 보라색 꽃 들국화 “개미취”

Supuro 2025. 4. 3. 10:22
728x90
728x90

개미취(학명: Aster tataricus)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한국이 원산이며, 일본, 중국 북부와 몽골, 러시아 시베리아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자생화입니다. 한반도 전역에 나며, 내한성, 내서성, 내습성이 강한 식물이라 척박하고 건조하거나 습기가 많은 토양에서 모두 잘 자라며, 양지성 식물이나 반그늘에서도 잘 자랍니다. 훤칠한 키에 땅속줄기로 번식하는 특성 때문에 정원의 한켠에 심어 놓으면 아름다운 모습으로 가을을 수놓을 수 있습니다.

 

 

개미취 - 한국임업진흥원

 

 

개미취의 속명 tataricus는 몽고의 타탈지방에 자생하는 꽃에서 붙인 이름으로 희랍어로 별을 뜻합니다. 개미취의 유래를 둘러싸고 개미()+(나물)로 보아, 꽃대에 개미가 붙어 있는 것처럼 작은 털이 있고 나물로 식용한 것에서 유래한 이름이라고 합니다.

 

 

개미취 - 한국임업진흥원

 

 

줄기는 곧추서며 위쪽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는 100~150cm 정도로 짧은 털이 있습니다. 뿌리잎은 꽃이 필 때 마르며, 큰 것은 길이 50cm에 이릅니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고, 잎자루는 9~20cm이며, 흘러서 날개처럼 됩니다.

 

 

개미취 꽃 - 한국임업진흥원

 

 

꽃은 분홍빛을 띤 연한 자주색으로 8~10월에 피는데 줄기 끝에서 두상화가 모여서 산방꽃차례로 달리며, 두상화의 지름은 2.5~3.3cm이고, 꽃대는 1.5~5cm로 털이 많습니다. 꽃싸개는 반구형으로 길이는 7mm, 13~15mm, 3개의 조각으로 붙고 끝이 뾰족합니다. 열매는 수과이며 길이는 3mm 정도로 털이 있습니다.

 

 

주요 효능

개미취는 문헌적으로 다양한 약효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기관지 및 폐 질환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동의보감에서는

폐를 보하고 폐열을 내려주며 달여 먹으면 좋다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신농본초경에서는

해수, 천식, 흉중의 답답한 기운을 다스린다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 진해, 거담: 기침을 멎게 하고 가래를 삭이는 효과가 탁월하여 기관지염, 천식, 폐결핵 등으로 인한 기침에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 윤폐: 폐를 촉촉하게 적셔주는 효능이 있어 마른기침이나 인후 건조 증상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하기: 기운이 위로 치솟는 것을 내려주는 효능이 있어 기침과 함께 숨이 차오르는 증상을 완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 항균 작용: 체외 실험에서 대장균, 이질균, 콜레라균 등 다양한 균에 대한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항암 작용: 개미취에서 분리한 특정 성분이 복수암에 대해 항암 작용을 나타낸다는 연구 보고가 있습니다.
  • 이뇨 작용: 소변을 잘 나오게 하여 몸이 붓는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해독, 살충: 고독(蠱毒)을 제거하고 살충 효과가 있어 예전에는 화장실이나 돼지우리에 살충제로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 기타: 위기를 고르게 하고, 토혈을 치료하며, 갈증을 멎게 하는 등의 효능도 문헌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주요 성분

개미취에는 사포닌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진해, 거담 작용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 외에도 플라보노이드, 정유 성분 등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먹는 방법

개미취는 약용뿐만 아니라 식용으로도 활용되는 식물입니다. 섭취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야생화 개미취 즐기는 방법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봄나물로 먹기

  • 봄철 어린잎과 줄기를 채취하여 깨끗하게 씻습니다.
  • 끓는 물에 살짝 데쳐 찬물에 헹궈 쓴맛을 우려냅니다.
  • 무침, 볶음, 국, 찌개 등 다양한 나물 요리에 활용합니다. (된장, 고추장, 간장 등으로 양념)
  • 쌈 채소로 이용하기도 합니다.

 

묵나물로 먹기

  • 채취한 개미취를 데쳐서 햇볕에 잘 말립니다.
  • 말린 개미취를 물에 불려 삶아 나물로 조리해 먹습니다.

 

장아찌

  • 어린잎과 줄기로 장아찌를 담가 오래 보관하며 먹을 수 있습니다.

 

()로 마시기

  • 말린 개미취 뿌리 또는 전초 6~12g을 물 500ml~1L에 넣고 끓입니다.
  • 물이 끓기 시작하면 약불로 줄여 30분~1시간 정도 은근하게 달입니다.
  • 달인 물을 하루 2~3회 나누어 마십니다.
  • 기호에 따라 감초나 대추 등을 함께 넣어 끓여도 좋습니다.

 

가루로 복용

  • 말린 개미취 뿌리를 곱게 가루 내어 1회 1~2g씩 따뜻한 물에 타서 마십니다.
  • 꿀이나 요구르트 등에 섞어 먹어도 좋습니다.

 

()으로 복용

  • 말린 개미취 가루를 꿀이나 다른 부형제와 섞어 환으로 만들어 복용하기도 합니다. (전문가의 지시에 따라 복용)

 

 

섭취 시 주의사항

개미취는 성질이 따뜻하여 몸에 열이 많은 사람이나 마른기침을 하는 경우에는 섭취에 주의해야 하며, 임신 중이거나 수유 중인 여성은 섭취 전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또한, 생으로 먹거나 나물로 조리할 때는 쓴맛을 제거하기 위해 충분히 데치고 찬물에 우려내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개미취와 비슷하게 생긴 독초가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 채취해야 합니다.

 

 

 

 

 

 

728x90
728x90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