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부위를 식용, 약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비비추”
비비추(Hosta longipes)는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한국, 일본 등에 분포하며, 산지의 습한 바위틈이나 개울가에서 자랍니다. 다양한 품종이 개발되어 외국에서 정원 식물로 인기가 높으며, 어린잎은 식용하고, 관상용으로 심습니다.
땅 위로 자라는 줄기는 없으며, 잎은 난형으로 뿌리에서 모여 비스듬히 나오고, 길이 10~13cm, 너비 8~10cm 정도입니다. 잎끝은 뾰족하고, 아래는 심장형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약간 물결처럼 보입니다. 잎줄은 8~9개이며 잎자루는 길고 좁으며, 자줏빛이 도는 검은색 반점이 있습니다. 꽃은 7~8월에 피며, 뿌리에서 나온 30~40cm의 꽃줄기에 달리는데, 총상꽃차례에 연한 백자색으로 무리 지어 달립니다. 열매는 삭과로 긴 타원형이고, 종자는 검은색이며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습니다.
주요 효능
비비추는 예로부터 민간에서 다양한 약효를 인정받아 온 식물입니다. 문헌에 기록된 비비추의 약효는 다음과 같습니다.
잎 (紫玉簪葉):
- 조기(調氣), 화혈(和血), 보허(補虛): 기를 고르게 하고 혈액순환을 도우며 허약한 것을 보충하는 효능이 있습니다.
- 부녀허약(婦女虛弱), 홍백붕대(紅白繃帶): 여성의 허약함, 적대하, 백대하, 자궁출혈 등에 사용되었습니다.
- 유정(遺精), 토혈(吐血), 기종(氣腫), 인후홍종(咽喉紅腫): 남성의 유정, 피를 토하는 증상, 기가 뭉친 증상, 목과 후두가 붓고 붉어지는 증상에 효과가 있습니다.
- 붕루대하(崩漏帶下), 궤양(潰瘍): 월경 과다 및 오랫동안 멎지 않는 출혈, 대하증, 궤양 치료에 사용되었습니다.
뿌리 (紫玉簪根):
- 이기(理氣), 보허(補虛), 화혈(和血), 지통(止痛): 기를 순조롭게 하고 허약한 것을 보충하며 혈액순환을 돕고 통증을 멎게 하는 효능이 있습니다.
- 인후종통(咽喉腫痛), 치통(齒痛), 위통(胃痛): 목과 후두의 붓고 아픈 증상, 치통, 위통에 효과가 있습니다.
- 혈붕(血崩), 대하(帶下), 옹저(癰疽), 나력(瘰癧): 갑작스러운 자궁출혈, 대하증, 악성 종기, 연주창 치료에 사용되었습니다.
꽃:
- 인후종통(咽喉腫痛): 목과 후두가 붓고 아픈 증상에 사용됩니다.
- 소변불통(小便不通):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증상에 효과가 있습니다.
전초:
- 창독(瘡毒), 화상(火傷): 종기나 악창, 화상에 짓찧어 붙였습니다.
일반적인 효능:
- 소염 작용: 염증을 가라앉히는 효과가 있습니다.
- 이뇨작용: 소변 배출을 돕는 효과가 있습니다.
- 항산화 효과: 두피 노화 예방 및 탈모 억제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혈액순환 개선: 사포닌 성분이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기타: 피로회복, 뇌신경 보호 작용, 항균, 항염 등 현대에 와서 다양한 효능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먹는 방법
비비추는 어린잎, 꽃, 뿌리 등 다양한 부위를 식용 또는 약용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비비추 잎에는 약한 독성이 있으므로 반드시 물에 충분히 담가 여러 번 헹궈 내거나 데쳐서 독성을 제거한 후 섭취해야 합니다.
공기정화 식물 비비추 즐기는 방법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1. 어린잎:
- 나물: 끓는 물에 소금을 약간 넣고 비비추 잎을 살짝 데친 후 찬물에 헹궈 물기를 꼭 짜고, 국간장, 된장, 고추장, 다진 마늘, 참기름, 깨소금 등의 양념으로 무쳐 먹습니다. 취향에 따라 초고추장에 찍어 먹거나 쌈으로 먹기도 합니다.
- 국: 된장국에 넣어 끓이면 부드럽고 감칠맛을 더합니다.
- 장아찌: 잎을 절여 장아찌로 만들기도 하지만 저장성이 좋지 않습니다.
- 기름에 볶음: 살짝 데친 잎을 기름에 볶아 먹을 수도 있습니다.
- 비빔밥: 다른 나물과 함께 비빔밥 재료로 활용합니다.
2. 꽃:
- 꽃차: 깨끗하게 씻은 비비추 꽃을 그늘에서 바짝 말린 후 3~5송이를 뜨거운 물에 우려내어 마십니다.
- 화전: 찹쌀가루를 묻혀 기름에 지져 화전으로 만들어 먹습니다. 이때 꽃술(암술, 수술)은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 튀김: 꽃을 튀김으로 만들어 먹기도 합니다.
3. 뿌리:
- 뿌리는 주로 약용으로 사용되며, 생으로 먹기보다는 말려서 달여 차로 마십니다. 문헌에 따르면 인후통, 치통, 위통 등에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주의사항:
비비추와 비슷하게 생긴 은방울꽃은 독성이 강하므로 절대 섭취해서는 안 됩니다. 잎 모양이 다소 유사하므로 주의하여 구별해야 합니다.
비비추를 처음 섭취하는 경우 소량으로 시작하여 몸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꽃의 경우 독성이 있을 수 있으므로 섭취에 주의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