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 안의 진액과 양기를 길러주는 ”둥굴레“
둥굴레(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는 비짜루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과분꽃이라고도 합니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며, 전국 양지바른 곳이나 반그늘에서 잘 자라며, 어떤 흙에서도 잘 견딥니다.
줄기는 15cm 내외이며, 곧게 자라며 위쪽은 약간 기울어지고 모가 나 있습니다. 뿌리줄기는 원기둥꼴이며 굵고 긴 마디가 있고 수염뿌리가 많습니다.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가 매우 짧고 달걀꼴 또는 긴 타원형이며 뒷면이 분처럼 희고, 다소 위를 향하며 길이 5~8cm 내외입니다. 꽃은 6~7월에 잎겨드랑이에서 1~2개씩 피며, 꽃자루는 단일하거나 혹은 2갈래로 갈라지고, 꽃잎은 길이 약 2cm이고 끝이 6갈래로 갈라지는데 각 조각은 달걀꼴로 녹색입니다. 열매는 장과로 둥글고 검게 익습니다.
주요 효능
둥굴레는 예로부터 자양, 윤폐, 지갈, 생진 등 다양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많은 문헌에서 약효를 기록하여 온 약용식물입니다. 둥굴레는 한의학에서 옥죽(玉竹) 또는 위유(萎蕤) 라고 부르며, 주로 뿌리줄기를 약재로 사용합니다.
『본초강목(本草綱目)』에서는
둥굴레를 신선들이 즐겨 먹는다고 하여 신선초(神仙草)라고도 불렀으며, “피부에 윤기를 더하고 얼굴의 기미나 반점을 없애는 효능이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는
둥굴레를 태양의 정기를 받은 생약으로 표현하며, 생약 중 첫 번째 서열에 둘 정도로 그 효능을 높이 평가했습니다.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에서는
- 음(陰)을 보하고 건조한 것을 윤택하게 하며, 번조(煩躁)를 제거하고 갈증을 멎게 하는 효능이 있습니다(養陰潤燥,除煩止渴).
- 허약한 체질을 강하게 하고, 열병으로 인한 갈증,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증상, 가을철 건조함으로 인한 위장의 진액 손상 등에 사용합니다.
- 폐열을 없애고 마른기침, 폐결핵 등을 치료하는 데 사용됩니다.
『광서중약지(廣西中藥誌)』에서는
“음기(陰氣)를 자양하고 폐열(肺熱)을 없애며 건조한 것을 적셔준다. 음허(陰虛), 다한(多汗), 조해(燥咳), 폐결핵을 치료한다.”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중국본초도록(中國本草圖錄)』에서는
“둥굴레(옥죽)는 맛이 달고 성질은 평하며, 양음윤조(養陰潤燥), 생진지갈(生津止渴)의 효능이 있어 건해소담(乾咳少痰), 구조인건(口燥咽乾) 및 당뇨병에 사용한다.”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현대 약리학 연구를 통해 밝혀진 둥굴레의 주요 약효
- 강심 작용: 심장 기능을 강화하는 작용을 합니다.
- 혈압 강하 작용: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어 고혈압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혈당 감소 작용: 혈당 수치를 낮추는 효과가 있어 당뇨병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동맥경화 예방 작용: 혈관 건강을 개선하여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 간 기능 개선: 간에 지방이 축적되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 항산화 작용: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노화 방지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피부 미용: 피부를 윤택하게 하고 기미, 주근깨 등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먹는 방법
둥굴레는 다양한 방법으로 섭취할 수 있습니다.
건강에 좋은 참죽나무 이용 방법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1. 둥굴레차
말린 둥굴레 뿌리 10~20g을 흐르는 물에 가볍게 씻어줍니다. 물 1L 정도를 끓인 후, 둥굴레 뿌리를 넣고 약불에서 10~20분 정도 은은하게 끓여줍니다. 기호에 따라 끓이는 시간을 조절하여 맛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끓인 둥굴레차는 따뜻하게 또는 차갑게 식혀서 마십니다. 기호에 따라 꿀이나 설탕을 약간 넣어 단맛을 더해도 좋습니다.
2. 둥굴레를 이용한 요리
- 둥굴레 나물: 봄에 돋아나는 어린 둥굴레 잎을 살짝 데쳐서 찬물에 헹굽니다. 물기를 꼭 짜고, 국간장, 다진 마늘, 참기름, 깨소금 등으로 양념하여 무쳐 먹습니다.
- 둥굴레 뿌리 조림/볶음: 둥굴레 뿌리를 깨끗하게 씻어 적당한 크기로 썰어줍니다. 간장, 설탕, 다진 마늘, 참기름 등을 넣고 조리거나 볶아서 반찬으로 먹습니다. 쫄깃한 식감이 좋습니다.
- 둥굴레 뿌리 튀김: 둥굴레 뿌리를 얇게 슬라이스한 후 튀김옷을 입혀 바삭하게 튀겨 간식으로 먹습니다.
- 둥굴레 밥: 밥을 지을 때 깨끗하게 씻은 둥굴레 뿌리를 함께 넣어 밥을 짓습니다. 은은한 향이 밥맛을 좋게 합니다.
- 둥굴레를 활용한 국물 요리: 소고기국 또는 삼계탕, 돼지고기 찜 등을 끓일 때 둥굴레 뿌리를 함께 넣어 끓이면 잡내를 제거하고 깊은 맛을 더해줍니다.
- 둥굴레 묵: 둥굴레 뿌리에서 얻은 전분으로 묵을 만들어 먹기도 합니다.
3. 기타 섭취 방법
- 둥굴레 효소/발효액: 둥굴레 뿌리와 설탕을 1:1 비율로 섞어 발효시켜 효소나 발효액으로 만들어 먹기도 합니다. 기호에 따라 물에 희석해서 마셔도 좋습니다.
- 둥굴레 가루: 말린 둥굴레 뿌리를 곱게 갈아 가루로 만들어 물이나 우유에 타 마시거나, 요리에 첨가하여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둥굴레 술: 둥굴레 뿌리를 술에 담가 숙성시켜 약술로 마시기도 합니다.
주의사항
둥굴레는 변비약과 함께 복용 시 칼륨 결핍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으며, 극소량의 카페인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과다 섭취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위가 약한 사람이 과다 섭취하면 설사를 유발할 수 있으며, 공복에 마시면 속쓰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